지난 2일 공식선거운동 스타트와 함께 세종시 갑·을 지역 여야 후보들이 정책·공약 마케팅에 시동을 거는 모습이지만 유권자들 주목을 끌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된다. 더 문제시되는 것은 각 후보들의 제시하고 있는 정책이나 공약단위만으론 표심 잡기용 인상이 짙어 보인다는 점이다. 시간 여유가 있긴 하지만 시작 단계에서 풍기는 이런 양태로 유권자들의 표심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드는 측면이 적지 않다.

같은 세종시 출마 후보들이라도 갑·을 선거 지형을 의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사정을 모르지 않는다. 그 부분은 그렇다 해도 그동안 발표된 세종시 후보들의 정책·공약 상품들의 경우 유권자 눈높이에서 보면 차별화가 잘 느껴지지 않는 게 사실이다. 가령 A당 B후보를 가정했을 때 그가 주장하고 강조하는 지역 이슈가 뚜렷하면 자연스럽게 유권자들에게 각인이 된다. 그런 면에서 갑·을 선거구를 막론하고 아직 선명한 전선을 형성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런 현실이 각 후보들도 답답한 것이고 유권자들 또한 다르지 않다. 미래 가능성을 보고 투표를 해야 하는데, 후보들 존재감이 묻히는 형국이라면 난감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각 후보들의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과 관련된 문제도 오리무중으로 비치기 십상이다. 오히려 인상적인 구상을 밝히고 실효적인 비전을 놓고 생산적인 경쟁 구도가 짜여지기는커녕 그런 징후가 엿보이지 않는 것 같다. 세종시는 행정수도를 목표로 균형발전 가치에서 출발한 상징적인 선도 도시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인구 34만 명 도시로 몸집을 불리기까지 중앙행정기관 이전 등에 힘은 바 크지만, 여전히 갈 길이 멀다. 그런 만큼 이번 4·15 총선에서 선택을 받겠다고 나섰으면 분명한 소신과 입장을 정리해줘야 한다.

이 부분을 정면으로 돌파하지 않는다면 그냥 금배지 하나 달기 위해 경쟁하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세종의사당 건립 등 행정수도 `디딤돌 자산`에 속하는 공약 내용이 빈약한 상황에서 국회에 입성하면 이전 저런 현안을 해결하겠다는 약속은 논리적으로 모순될 수 있다. 각 후보들에게 세종시가 지향하는 최상위 정책 목표에 대한 설계 및 구상의 재정립을 주문하는 이유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