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강을 앞두고 중국인 유학생들의 입국이 본격화되면서 지역 대학들이 유학생 방역 관리에 비상이 걸린 형국이다. 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유학생을 보유하고 있는 충청지역 대학들이 이들 유학생을 통한 코로나19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대다수 유학생들이 학교 기숙사보다 대학 주변에서 따로 생활하는 바람에 대학 차원의 관리에 한계가 뒤따른다. 지역사회 감염이 확산 일로에 놓이면서 유학생을 바라보는 시각도 곱지 않다.

대학들이 개강을 앞두고 신경이 쓰이는 것은 학교 밖 유학생들이다. 중국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면 2주간 격리를 위해 기숙사 수용을 안내하고 있지만 일부 학생들이 격리 자체를 경계하면서 자율격리를 주장하기 때문이다. 기숙사 격리 비율이 전체 학생의 20-30% 수준에 그친 점이 이를 대변한다. 자율격리를 하더라도 유학생들이 잘 지킬 것인지도 의문이다. 학생들의 일상생활을 감시할 수 없어 자가진단 절차를 안내하는 정도가 고작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직접 발열 체크를 통해 학교에 유선으로 통보하는 식이어서 통제가 불가능하다는 것도 골치다. 문제는 유학생들이 기숙사 격리나 자율 격리를 거부하더라도 마땅한 대응책이 없다는 데 있다. 근본적인 관리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구조란 얘기다. 대학이 매일 전화 등으로 학생들의 상태를 점검하고 외출 자제를 당부하면서 코로나 안전수칙을 권고하지만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게 불안을 더 키운다. 자칫 국내 학생들 사이에 중국 학생 공포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중국인 유학생들을 통한 감염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들이 혼선을 빚지 않으려면 대학과 학생들의 유기적 협조가 관건이다. 가뜩이나 중국인의 입국을 금지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는 마당에 이들 유학생들의 대거 입국은 또 다른 불안을 안길 수 있다. 코로나가 진정되기는커녕 확산 추세여서 중국 유학생 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