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나는 사람은 줄을 잇고 아기 울음소리는 줄어든다. 고용은 부진하며 청년고용률은 단 한번 전국 평균조차 넘어선 적 없다. 수출은 40억 달러, 수입은 30억 달러 대에서 박스권을 형성하며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렇다 할 미래 성장동력을 찾지 못한 채 인구와 경제의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는 대전의 암울한 단면이다.

2019년 대전시가 받아든 통계 성적표를 보면 150만을 웃돌던 대전 인구는 2017년 150만 2000명을 마지막으로 지난해 149만 명으로 쪼그라들었다. 대전시가 11월 말 기준으로 집계한 인구는 147만 6955명(63만 4605가구)으로 더 줄었다.

대전의 인구 감소는 세종시 출범 영향이 크다. 세종으로 흘러들어간 전입자의 이전 거주지가 대전인 사람은 세종시가 출범한 2012년 8907명을 시작으로 2013년(4012명) 잠시 주춤했다가 이듬해부터 1만 4093명, 2만 5788명, 1만 7575명, 2만 3707명, 2만 2180명 등으로 지난해까지 전국에서 가장 큰 폭의 인구이동을 기록했다.

반면 세종에서 대전으로 전입하는 인구는 2012년 2367명에서 꾸준히 늘었다고 해도 지난해 6365명에 불과하다. 단순 비교하면 대전과 세종이 3대 1 가량 비율로 인구 맞바꾸기를 한 셈이다. 이들 모두 `주택`을 가장 큰 전입사유로 꼽았다.

아이 낳기를 꺼려하는 저출산 기조는 대전의 시세(市勢) 위축을 가속화한다. 가임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 즉 합계출산율에서 대전은 충청권내 유일하게 1명 밑으로 추락했다. 올 3분기(7-9월) 대전의 합계출산율은 0.84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0.06명 떨어졌다. 전국 평균(0.88명)보다도 낮은 것으로 서울(0.69명), 부산(0.78명) 바로 아래다. 통계청은 장래인구특별추계를 통해 2047년이면 대전 인구가 133만 명으로 2017년(153만 명) 대비 20만 명(13.3%)이나 축소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고용률은 전국 평균 밑에서 제자리걸음이다. 전국 고용률이 2014년 60.5%로 50% 후반대를 벗어나는 동안 대전은 지난해까지 5년 동안 58-59% 사이를 오르락 내리락했다. 특히 15-29세 청년고용률은 30% 후반대에서 2016-2017년 2년 동안 40%대로 올라섰으나 지난해 다시 38.1%로 주저앉았다. 청년고용률은 단 한차례도 전국 평균을 추월하지 못했다. 3% 선이던 대전의 실업률은 지난해 전국 평균(3.8%)을 웃도는 4.2%를 기록했다.

소비도시 대전의 성장 모멘텀 부재는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는 수출입 규모에서도 확인된다. 대전의 수출액은 2012년 42억 7400만 달러에서 증감을 거듭했으나 지난해 45억 1500만 달러로 마감했다. 수입액은 28억 9700만 달러(2012년)에서 2013년 33억 4100만 달러 선으로 증가한 뒤 지난해까지 내리 6년 동안 30억 달러 중반대에서 횡보하고 있다. 문승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