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가 교섭이 결렬되면서 사흘간의 시한부 파업에 들어갔다. 주말을 끼고 파업을 벌이는 바람에 열차 운행에 차질이 빚어짐과 동시에 이용객들의 불편이 뒤따랐다. 14일 파업을 마치고 정상화된다고 하지만 경고성 파업 이후 어제든지 재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감을 떨칠 수 없다. 교섭이 불발될 경우 다음 달 무기한 파업을 예고하고 나선 것도 예사롭지 않다. 어느 때보다도 노사의 협상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대목이다.

2016년 파업 때보다 철도 운행률이나 운용인력이 적어 열차 운행 차질과 시민들의 불편이 컸다고 한다. 3년 전 74일간의 최장기 파업이 진행되는 동안 80%의 열차 운행률을 유지했지만 70%대로 떨어지면서 이용객들의 불편이 이만저만 아니었다. 서해선·강릉선 등 새로운 노선 개통과 퇴직, 근로시간 단축 등 환경변화에 따라 지원 인력이 감소한 영향이 크다. 충북 제천과 단양 등지에 시멘트 업체가 몰린 충북지역의 화물열차 운행은 67%가량 취소되면서 화물열차 운행률이 25% 수준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사흘간의 경고성 파업기간 동안 큰 사건사고가 없었던 점은 다행이다. 2013년 철도 파업 때는 80대 노인이 대체인력의 미숙한 운전으로 사망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평소 업무를 담당하던 사람이 아닌 대체 인력이 투입될 경우 전문성이 떨어지는 건 자명하다. 23일간 지속된 파업기간 동안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열차 탈선사고가 4건이나 발생한 건 철도파업이 국민안전을 얼마나 위협하는 것인지 잘 보여준다.

철도노조는 임금 인상과 안전인력 충원, KTX·SRT통합을 요구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열여섯 차례 교섭을 가졌지만 좀처럼 노사간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한 모양이다. 파업에 이르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이 떠안게 된다. 교섭이 결렬될 경우 또다시 무기한 파업을 경고하고 나선 만큼 노사가 최선을 다해 재발만은 막아야 한다. 국민을 볼모로 한 파업은 더 이상 없어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