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법인 전환 시급vs중앙 들러리 역할 될까 우려

21일 대전시의회 대회의실 앞에 대전예술의전당 독립 법인화를 반대한다는 내용의 종이가 붙어있다. 사진=조수연 기자
21일 대전시의회 대회의실 앞에 대전예술의전당 독립 법인화를 반대한다는 내용의 종이가 붙어있다. 사진=조수연 기자
10여 년 간 표류해온 대전예술의전당 법인화에 대한 논의가 재개됐다.

조성칠 대전시의원은 21일 대전시의회 대회의실에서 `대전예술의전당 독립 법인화 방안 정책토론회`를 열고 문화예술계 관계자들과 대전예당 독립 법인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대전예당 제4대 관장을 지냈던 이용관 부산문화회관 대표는 "대전예당은 성과를 많이 창출하기도 했지만 조직력의 성장이 멈춘 한계에 봉착했다"며 "조직원의 신분과 조직의 불안정 해소, 조직 규모의 유연성에 의한 사업 확대 등을 위해 법인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1987년 재단을 설립하고 이듬해 개관한 서울 예술의전당 태승진 예술의전당 경영본부장은 "국민들의 문화향유 기회의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책임운영을 통해 재정자립율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대전예당 독립 법인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복영한 연극협회장은 "서울 예술의전당을 놓고 보면 독립화는 지역예술가들한테는 반가운 소식이지만, 스타와 우수인력이 없는 지역에서 제작 할 때 관객확보와 재정자립의 영향을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며 "상생의 이유로 독립화 해 놓고 역으로 지역예술이 중앙의 들러리 역할로 전락하는 것은 아닐지 우려가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예술계가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지역특색에 맞는 정책개발 독립화는 초기부터 신중하게 세팅돼야 할 것"이라며 "지역예술가와 상생할 수 있을지 면밀히 분석해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

일부 대전예당 직원들의 반발도 표출됐다. 대전예술의전당 일부 직원들은 이날 토론장 입구에 `재단 X`, `법인화 X`라는 글자를 적은 종이를 붙여놓았다.

대전예술의전당 한 직원은 "대부분의 내부 직원들은 공청회 사실도 뒤늦게 알았다"며 "현재도 시에 크게 간섭받지 않는 대전예당을 법인화 하는 근거가 토론회서 이야기한 것으로는 부족하다. 논의과정도 투명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행정안전부의 법인 설립과 관련 행안부의 타당성 용역 실시 의견이 있는 만큼, 용역결과와 시민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는 문주연 대전시 문화예술정책과장, 김상균 대전예술의전당 관장, 복영한 대전연극협회 회장, 전정임 충남대학교 음악과 교수 등이 참석했다.

대전예술의전당은 2003년 10월 1일 개관한 시설로 개방형직위제(4급상당)를 통해 채용된 관장을 중심으로 공연기획과와 문화예술과 2개과를 중심으로 일반직 11명과 임기제 39명으로 총 5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기타인력으로는 공무직근로자 27명과 기간제 근로자 11명으로 38명이 근무하고 있다. 조수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1일 대전시의회 대회의실 앞에 대전예술의전당 독립 법인화를 반대한다는 내용의 종이가 붙어있다. 사진=조수연 기자
21일 대전시의회 대회의실 앞에 대전예술의전당 독립 법인화를 반대한다는 내용의 종이가 붙어있다. 사진=조수연 기자

조수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