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충청 정치인들의 의정활동 관련 동향이 오리무중인 인사들이 적지 않은 듯하다. 이는 우선 6월 국회 문이 열리지 않고 있는 현실과 무관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의정활동을 위한 메인 무대가 펼쳐져 있지 않은 데다 당 지도부 구성원이 아닐 경우 외부에서 보기에 겉도는 인상을 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사정이 어떻든 의원들은 `강제휴무`를 당하고 있는 것에 비유될 수 있고, 이점은 충청권 의원들도 다르지 않다고 본다.

여야 대치 정국을 대하는 지역 의원들 양태는 두 그룹으로 분류된다. 하나는 잠행 모드에 있는 그룹이고 다른 하나는 가끔 개인 동정이 언론을 통해 노출되는 그룹이다. 정치인이 언론의 조명을 못 받거나 뉴스의 인물이 되지 못하면 정치적 무게감도 떨어진다. 지역구민의 대리인이 국회에 입성한 뒤 활동 이력이 미미할 때도 또한 마찬가지다. 간간히 뉴스에 나온다면 상대적으로 사정이 나을 수는 있다. 편의상 이렇게 구분 지을 수 있지만 지역민들 입장에서 성에 안 차기는 오십보백보라 할 수 있다. 그렇게 인식될 만한 사유가 있다. 무엇보다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서는 충청권 의원들의 응집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소속 정당이 달라도 그것은 후순위 문제일 따름이고 일단은 서로 힘을 보태야 성과를 내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은 나부터 살고 보자는 식의 행보에 더 신경을 쓰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합리적 의심을 낳게 한다. 여야 중진의원, 초재선의원 할 것 없이 지역 핵심이익 관철을 위해 앞장서기는커녕, 변변하게 정치적 목소리를 내려고 들지 않는 듯 여겨진다.

이런 상황이니 막상 멍석이 펴졌을 경우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을지 반신반의하지 않을 수 없다. 타 권역 정치권이 없는 것도 만들어 지역에 선물하려고 애를 쓰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광주형 일자리` `구미형 일자리` 하는 것 등이 그런 경우가 아닌가. 무엇이 내년 총선에서 살아남는 길인지 각성했으면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