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와 내포신도시 상가가 텅텅 비어있다. 두 도시 모두 단기간 내 해소 될 기미를 보이지 않아 투자 손실은 물론이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부정적 영향이 크다. 도시 개발계획에 따른 상가 용지의 지속적인 공급과 더불어 공동주택(아파트)보다 빠른 상가 준공이 1차적 요인이기는 하다. 하지만 공실률이 최대 80% 이상인 건물까지 나오는 상황은 분명 정상이 아니다. 정확한 실태 파악을 바탕으로 대책 수립을 늦춰서는 안 되겠다.

세종시의 경우 소규모 상가(연면적 330㎡·2층 이하) 공실률이 20.9%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지난 해 3분기 기준이다. 소규모 상가 5곳 중 1곳 꼴로 비어있어 전국 평균(5.6%)의 4배에 달한다. 내포신도시라고 다르지 않다. 여기저기 텅 비어 있는 건물 옆에 새 건물을 신축 중이어서 공실률이 갈수록 더 치솟을 게 뻔하다. 임차인을 구한 건물주가 부러움을 살 지경이라니 실태가 짐작이 간다.

건물주나 상가 투자자만의 문제로 볼 일이 아닌 데 기본적인 실태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니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어렵다. 그마나 행복도시건설복합청이 행복도시 예정지역 내 상업시설 모니터링 용역을 진행하고 있는 정도다. 결과가 나오는 6월이나 돼야 세종시 내 상업시설 공급 계획과 대안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다. 신도시 건설이 지지부진한 내포는 상가 공실률에 대한 정확한 조사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자치단체는 물론 행복청, LH 등 관계기관이 중심이 돼 돌파구를 찾아야 할 시점이다. 하루빨리 자족기능을 갖추는 게 급선무다. 중앙부처 및 공공기관 이전이나 내포 혁신도시 지정 등으로 인구 유입이 되는 게 가장 바람직 하겠지만 어느 세월에 이루어질지 미지수다. 지구단위 계획상의 업종제한 완화와 유동인구 확대를 위한 기업·대학 등의 유치가 근본적인 해법이다. 신도시 전체가 악순환에 빠져 들지 않도록 대응책 마련에 적극 나서기 바란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