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출신 의원들이 국회 대정부질문을 위해 속속 등판하고 있다. 어제까지 3명 의원이 대정부질문을 마친 상황이고 마지막 날인 오늘도 2명 의원이 질문자로 연단에 오른다. 이들 5명 당적은 여당 4명에 한국당 1명으로 분포돼 있으며 지역구가 있는 시·도 기준으로 대전 2명, 충남 3명을 배분하는 라인업이 꾸려져 있다. 또 선수(選數)를 살펴보면 5선 1명에 나머지 4명은 20대 국회에 입성한 초선들임이 파악된다.

지역민들이 해당 의원들을 주목하게 되는 것은 지역의 굵직한 현안들과 맞물려 있는 까닭이다. 이들 중 누가 됐든 국정 주요 정책은 물론이고 거기에다 지역 현안들을 부각하고 이슈화하는 데 대정부질문을 능가하는 기회는 없다고 본다. 총리를 비롯해 정부부처 장관들이 참석해 있어서 필요에 따라 총리를 지목해 질문을 전개할 수도 있는 노릇이고, 그보다는 주무 장관을 상대로 문답을 진행하는 게 낫다면 그렇게 해도 누가 뭐라 하지 않는다. 대정부질문자로 나선 지역 의원들도 이런 패턴과 풍경을 보여준 것은 맞고 그게 잘못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지역민들 눈높이 면에서 평가해보면 특별히 인상적이거나 상당한 여운을 줄 만한 수준의 대정부질문을 했는지에 대해 의구심이 큰 쪽으로 무게중심이 기우는 것을 부정하기 어렵다. 편의상 질문 영역이 구분돼 있긴 하지만, 반드시 그에 기속될 이유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대정부질문이라는 독점적 무대를 십분 활용해 지역이 당면한 사안들을 전략적으로 끄집어 내야 할 필요가 있는데, 그런 측면에서 충청권 관련 `이슈 파이팅`을 보이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정부가 거북해 하는 사안일수록 기피정서가 꿈틀거렸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 그래서 나온다.

잘잘못이나 공과를 따지자는 게 아니다. 대정부질문이라는, 말하자면 좋은 무기를 쥐고도 지역 현안이나 갈등사안에 대해 정부를 상대로 정책적으로 각성케하는 데 한계를 노정시킨 것은 아닌지 그 부분을 지적하는 것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