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취업자 수가 반짝 증가했다. 통계청의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6만 5000명 증가했다. 올 1월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많이 늘어난 것이다. 증가폭이 10만 명을 넘어선 것도 6월 이후 5개월만이다. 올 들어 최저였던 8월 증가폭이 3000명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50배 이상 늘어난 규모여서 반가운 일이다. 그렇다고 고용한파가 잦아들었다는 판단을 하기엔 이르다. 회복을 했다고는 하지만 정부의 올 전망치 18만 명에도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정부의 공공일자리 확대정책에 따른 일시적 회복세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외형적으로는 늘었지만 내용을 뜯어보면 고용사정이 여전히 좋지 않다. 늘어난 일자리 대부분이 공공행정과 농림어업, 건설업에 집중됐다. 주력으로 볼 수 있고 상대적으로 좋은 일자리라고 평가받는 제조업 취업자는 오히려 9만 1000명이나 줄었다. 전달 4만 5000명 감소보다도 두 배나 많다. 최저임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도소매업 종사자도 6만 9000명 줄었다. 경제의 허리인 30-40대 취업자 감소 행진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30대 취업자는 1년 전보다 9만 8000명, 40대는 12만 9000명이나 줄었다. 이 모두가 고용여건이 나아졌다고 보기 어려운 대목이다. 정부는 지난 10월 고용한파를 타개하기 위해 단기 공공일자리 5만 9000개를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달 취업자 증가가 이 같은 정책의 영향이라는 진단에 무게가 실린다.

일시적이나마 취업자가 늘어난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고용의 양이 늘었어도 질적으로 악화되었다면 따져볼 일이다. 취업자 증가가 정부의 재정정책 영향이라면 지속가능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중요한 건 일시적인 증가가 아니라 고용의 구조적인 개선이다. 기업투자를 늘리고 제조업 등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높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정부의 좀 더 면밀한 검토와 대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