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핵심이슈인 과학벨트 예산 문제와 혁신도시 추가 지정과 관련해 여야가 공감을 표하고 있어 향후 전망이 밝다. 이 분위기대로 죽 가면 머지않아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을 것 같은 기대감이 커지는 것도 사실이다. 두 현안을 여기까지 끌고 오는 데엔 국감 정국을 활용한 지역 정치권의 꾸준한 활약상이 가볍다 할 수 없다. 혁신도시 국회 토론회를 열어 이슈 선점에 나선 것이나 국감 의원들이 과학벨트 현장 시찰에 나서도록 한 것 등을 꼽을 수 있다.

지난 19일 대전을 방문한 한국당 김병준 비대위원장도 과학벨트 및 혁신도시 이슈를 거들고 나섰다. 그는 "과학 클러스터를 잘 형성해서 우리나라 국가 산업과 기술발전의 허브가 됐으면 좋겠다 "고 했는데 과학벨트의 본질을 직시한 진단으로 평가된다. 또 "세종시가 있어 대전이나 충남은 불이익을 보거나 부작용이 큰 것 같다"며 "혁신도시를 추가적으로 지정하는 등 중앙 차원에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는 언급도 부연한 것으로 돼 있다. 대체로 딱 부러지는 화법과는 거리감이 있긴 해도 한국당 지도부 간판인 김 비대위원장의 이런 일련의 발언은 지역현안에 대한 주목도를 방증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듯하다. 두 현안에 관한한 민주당 인식도 대동소이하다고 볼 수 있다. 이해찬 대표는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카드를 꺼내 든 장본인인 데다 충청권 시·도 예산정책협의회 일정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당 차원의 지원 의사를 강하게 피력한 바 있다.

시기와 형식은 다를지 몰라도 과학벨트·혁신도시 이슈에 대해 여야는 문제인식을 공유하고 있고 나아가 일이 잘 풀릴 수 있도록 도움이 되겠다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단계까지 온 것은 분명하다 할 것이다. 다만 어느 것도 확정된 단계가 아닌 현실을 혼동하면 안 된다. 정치적인 정지작업이 평탄하게 진행되고 있다지만 내년 과학벨트 예산안을 포함한 법제화 작업을 추동해 나가는 데 고삐를 죄어야지 늦출 때가 아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