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어제부터 3일간의 비핵화 일정에 들어간 가운데 남북 간 경제협력 논의가 어느 수위로 이루어질 지가 관심사중 하나다. 삼성을 비롯한 4대 그룹 총수와 CEO 등 경제인 17명이 평양남북정상회담에 동행했다는 점에서 경협 확대의 물꼬가 틔일 지 기대감을 갖게 한다. 남북 경협 논의는 비핵화 모멘텀 차원에서라도 요긴하다.

물론 본격적인 경협 국면으로 가는 데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당장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풀리지 않고 있는 상황이어서 섣부른 낙관론은 금물이다. 청와대가 어제 "이번 만남에서는 현실적으로 당장 (경협이) 가능한 영역보다 미래 가능성을 타진이 있지 않을까 예측한다"고 밝힌 것도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극적 반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개성공단 재가동 같은 변화에 적극 대비하는 자세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충청 기업들이라고 예외는 아니다. 대전·충남에 기반을 둔 개성공단 입주업체만 해도 모두 6곳이다. 업체들은 2016년 2월 공단 폐쇄 이후 철수했지만 공단 재가동 희망까지 버리지는 않았다. 남북경협 논의 과정에서 개성공단 재가동 문제가 대화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이 적지 않다. 정상회담 특별수행원에 신한용 개성공단기업협회장이 포함된 게 그 방증이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선제적 대응에 나설 때 기회를 살린다.

철도의 중심지인 대전으로선 오영식 코레일 사장이 방북 길에 오른 것도 지켜볼 대목이다. 앞서 문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제안`을 언급하며 철도 경협에 힘을 보탠 바 있어 이 부분의 논의가 심도 있게 진행될 개연성이 높다. 산림청을 중심으로 한 병충해 공동방제 같은 산림협력사업도 전격 진행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기업 입장에서 남북 경협은 이득이 있지만 부담 역시 적지 않았던 게 경험칙이다. 차분하게 지켜보고, 치밀하게 준비해야 경협 국면에서 주도권을 잡는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