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부터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 주관으로 전 국민 금융이해력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생소해 보이지만 국민의 금융이해력을 측정하고 비교하는 지표로 OECD 국가 중 우리나라는 지난 조사에서 66.2점으로 평균을 약간 넘는 수준을 받았다. 과거 IMF를 겪으면서 경제활동 핵심 연령대의 금융이해도가 높아진 것이다. 그런 영향 때문일까.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도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무용지물이고, 대출을 이용하는 개인들도 정책 방향이 어떻게 바뀔지 모색하느라 모두 좌불안석이다. 한국은행은 지난 6월 말 기준 가계부채 잔액은 1493조 원이 넘어선 것으로 발표했다. 지난해 6월 1387조 원보다 105조 원 이상이 늘었다. 특히 영세자영업자와 소상공인대출은 190조 8000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역대 최대 폭의 증가를 보였다. 전체 자영업자 대출은 이미 300조 원을 넘어섰고, 소득대비 부채비율도 소득 증가 폭보다 금융부채 폭이 커지면서 지난 해 부채보유 가구당 평균 금융부채는 8850만 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개인 가계부채도 재무 설계를 활용한 효율적 관리가 필요하다. 보유한 대출금의 상환계획을 세워 소득에 따른 분배를 점검해야 한다. 금리, 대출 기간, 상환 조건에 따라 내가 받고 있는 대출의 성격과 향후 연장 조건 등을 명확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금리 적용 방식에 따라 이자부담이 가중되므로 여신 조건도 따져봐야 한다. 코픽스 금리의 상승으로 국내 기준금리가 동결된다 하더라도 대출 금리는 오르게 된다. 어떤 기준금리와 가산 금리를 적용받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겠다.

대출금 상환방식은 만기 일시상환, 원금균등상환, 원리금균등상환, 수시상환 등으로 나눠진다. 소득이 일정하지 않은 점을 고려한다면 일시상환이나 수시상환 방식이 유용해 보이지만, 일정 금액 이상이라면 원금균등상환을 권장하며 소액 영업자금의 경우 마이너스대출의 수시상환을 추천한다. 대출 조건과 약관을 확인하고 목돈이 마련되었을 때 상환 가능여부와 상환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지도 따져봐야 할 것이다.

특히, 자영업자는 정책자금 대출의 활용과 대출 상품 자체의 변경도 고려해야 한다. 외부적 환경이 나빠지더라도 개인의 신용관리에 유념하고, 정책 금융과 제도권 금융의 활용을 당부한다. 여신상품의 금융이해도를 높이고 금융구조를 이해하면 금융 지출을 절약할 방법을 찾을 수 있다. 김태완 대전북부새마을금고 전무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