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유권자들의 관심은 여전히 낮다. 그중에서도 교육감 선거는 더욱 심각한 양상이다. 반면에 유권자 표심을 잡기 위한 후보 간 경쟁은 치열해져 정치적 중립성 훼손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교육감 선거가 정치적으로 오염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책이나 공약보다는 진영논리를 앞세우는 정치선거로 변질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집권여당의 지지가 높다 보니 여기에 묻어가려는 후보들의 심리가 작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교육감 선거는 정당 공천이 없다.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전문성, 자주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다. 그런데도 정치 선거를 한다면 유권자들로부터 외면을 받을 수밖에 없다.

교육감 후보들이 표를 얻기 위해 유리한 쪽으로 선거운동을 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라고 할 수 있다. 특정 정치 세력이나 시민단체와 연계를 하는 것도 이러한 까닭이라고 보면 된다. 하지만 정치적 중립을 훼손하는 선거운동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미래세대의 교육을 이끌어가야 할 교육감 후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교육적이지도 못하거니와 정당공천을 배제한 선거의 취지에도 어긋나는 일이다. 교육감 후보자의 자격 가운데 하나가 3년 이상의 `교육 경력`이다. 자치단체장이나 지방의원과 달리 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갖춰야 한다는 얘기다. 당연히 전문성을 입증할 교육정책이나 공약으로 승부를 벌여야 한다. 진영논리나 정치색만 앞세운다면 후보로서 자격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교육감을 잘 뽑아야 하는 것은 유권자의 몫이다. 자녀들의 장래가 달린 교육행정 책임자를 선택하는 일이다. 교육현장에서 교육감의 영향력은 막강하다. 예산편성권에 교원과 교육공무원의 인사권, 각종 정책결정권까지 쥐고 있다. 유치원과 초중고 교육과정 전반을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치색이 아니라 능력이나 자질이 필요한 자리다. 교육감후보의 전문성과 정책, 공약, 도덕성 등을 꼼꼼히 살펴보고 투표를 해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