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6월 수능 모의평가 이후 입시&학습 전략

6월 수능 모의평가는 기존 3월과 4월 학력평가와 크게 두 가지 차이점이 있다. 첫 번째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재수생까지 응시하는 시험이라는 것이고, 두 번째는 수능 출제 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문제를 출제한다는 것이다.

수능과 가장 유사한 시험이기 때문에 6월 수능 모의평가는 수능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는 자신의 현재 수준과 앞으로의 방향성을 판단하는데 매우 유용한 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좀 더 구체적으로 입시적인 측면과 학습적인 측면에서 6월 수능 모의평가 이후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 살펴보도록 하자.

가장 먼저, 현재 나의 `객관적인` 위치를 판단해야 한다. 6월 수능 모의평가를 통해 자신의 객관적인 위치를 파악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후회 없는 수시 지원을 하기 위해서이다. 지금의 입시에서는 수능 성적을 아무리 잘 받더라도 수시모집에서 합격한다면, 정시 지원을 할 수가 없다. 실제로 과거 수능에서 만점을 받은 한 학생은 수시에서 성균관대에, 또 다른 학생은 중앙대에 합격하는 등 두 학생 모두 수능 만점 점수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 사례가 있었다. 수능 만점 점수를 활용해 정시에서 지원했더라면 자신이 목표했던 곳 이상에 합격할 수도 있었지만 그렇지 못했다. 이는 결국 두 학생 모두 자신의 `객관적인` 위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발생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은 6월 수능 모의평가를 통해 객관적인 시각에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수시 지원 대학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잣대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많은 학생에게 6월 수능 모의평가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위치`를 분석해야 한다고 이야기를 하면, 6월 모의평가 결과에 따른 현 위치 파악에만 집착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객관적인 위치`는 현 시점에 한정 짓는 것이 아니다. 수능은 당장 다음 달에 보는 시험이 아니라 5개월 이후에 진행되는 시험이기 때문에 3월과 4월 그리고 6월까지의 성적의 흐름과 패턴 그리고 현재의 학습계획까지 고려해 포괄적인 시각으로 나의 위치를 예측해야 한다. 특히 재학생들은 N수생이 응시하는 이번 시험을 통해 보다 객관적인 시각으로 수시와 정시 지원의 기준점을 세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6월 수능 모의평가 결과를 통해 자신의 객관적인 위치에 따른 정시 경쟁력을 파악했다면, 다음으로 정시 경쟁력을 보완할 수 있는 수시 지원 전략에 대해서 고민을 해야 한다. 지금의 입시는 수시와 정시로 구분이 되고, 수시는 크게 네 가지 전형 요소 중심(교과, 종합, 논술, 특기자)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자신의 정시 경쟁력을 바탕으로 수시의 네 가지 전형 요소 중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전형을 선별해 판단할 필요가 있다.

또 많은 수험생이 공통으로 가진 학습적 측면에서의 문제는 `반성의 시간이 없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그동안 자신이 고수해 왔던 학습 방향과 패턴을 유지하면서 수능까지 억지로 밀고 나가는 습성을 보인다. 물론 학습 성과가 높고, 성적이 꾸준히 향상되는 모습을 보인다면 지금의 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좋으나, 그 반대의 상황이라면 전체적으로 학습의 태도나 방향을 재점검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특히 취약한 영역이나 일부 영역에서 부족한 부분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수능 모의평가 시험지를 꼼꼼하게 정리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6월 수능 모의평가는 그동안 치러진 모의고사와는 다른 새로운 유형의 문제가 출제되기도 한다. 교육청이나 사설기관이 실시하는 모의고사는 출제 범위가 제한돼 있을 뿐 아니라, 기존에 수능에서 출제됐던 주제나 문제 유형이 반복돼 출제되는 경향이 크다.

하지만 6월 수능 모의평가부터는 단원 간 통합형 문제 유형과 기본적인 개념의 이해를 전체의 단원 속에서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 유형들이 대거 출제된다. 나아가 수험생들에게 낯선 자료가 활용돼 출제되기도 하고, 새로운 유형의 문제가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6월 수능 모의평가를 통해 자신의 학습 방향을 재점검 하는 것은 향후 치르게 될 수능시험에 새로운 전환점의 역할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김병진<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