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선택 대전시장이 41개월째 직무를 수행하다가 시장직을 잃었다. 4년 임기 48개월 중 7개월을 채우지 못하고 짐을 싸는 비운을 맞았고, 민선 단체장 중도낙마라는 달갑지 않은 꼬리표도 달게 됐다. 권 시장은 지역 출신 토종 엘리트 관료였고 재선 의원을 지냈으며 이후에 대전시 수장에 오른 정치적 내공을 지닌 인물이었다. 권 시장이 문제의 `포럼` 운영과 관련해 정치자금 수수의 위법성 경계를 넘어가지 않았으면 재선 도전을 도모했을 가능성이 컸었다. 불가불 그의 `정치적 수(壽)`는 소진될 것 같고 도리 없는 일이다.

대전시정은 오늘부터 `포스트 권선택` 체제로 전환된다. 이 같은 상황은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당선되는 새 시장이 직무에 들어갈 때까지 지속된다. 산술적으로 계산하면 7개월여쯤 된다. 향후 7개월을 느긋하게 생각하면 감내하지 못할 것도 없다. 그럼에도 선출직 단체장이 부재하는 리더십 공백 기간 7개월을 그리 간단하게 볼 문제가 아니다. 더구나 예산국회가 끝나면 정치권은 내년 지방선거 정국으로 이동하게 돼 있다. 이런 사정을 감안할 때 선출직 리더십이 강판된 대전시는 차기 시장직을 노리는 정파나 세력들에게 휘둘리든지 손을 타든지 할 개연성이 높다고 보는 게 상식이다. 당장 주요 정책 방향이나 현안들에에 대해 아전인수식 담론이 고개를 들 수 있다. 만일 7개월 동안 갈팡질팡하는 식이 되면 시정의 대외 경쟁력을 떨어뜨리게 될 것이고 외부로부터의 경제적 부 및 재화의 유입은커녕 거꾸로 `공유 목초지` 황폐화를 가속화시키는 우를 범할지도 모른다. 이 시점에서 지역 정치권은 대전시에 대해 도와줄 것은 확실히 도와주되 시정 고유영역에 간섭하거나 참견하려 들지 말아야 한다. 시기가 미묘한 만큼 `전략적 무관심` 모드도 필요할 때가 있다.

권 시장의 부재에도 불구, 대전시는 무주공산이 아니다. 법적·제도적 장치가 작동하는 행정 유기체인데 엉뚱하게 난독해선 곤란하며, 이 연장선에서 대전시 공직사회도 그에 합당한 역량과 믿음성을 증명해줘야 한다. 나머지는 내년 6월 시장선거 때 150만 시민 지성과 판단에 맡기면 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