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 논밭에서 뛰어 놀았던 장소가 아파트로 변한지 오래다.

도심을 넘어 외각 지역에도 아파트가 둘러싸여 있다.

대전은 둔산을 거쳐 도안에 이르면서 아파트 도시가 됐고, 세종시는 전체 주택에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78%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이렇듯 우리는 아파트 공화국에서 살고 있다.

현재 전국의 아파트는 1000호를 돌파하며 주택 10채 가운데 6채를 차지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전국의 아파트는 1003만호로, 전년에 견줘 2.3% 늘어났다. 1960년 조사시작 이래 최초로 1000만호를 넘겼다.

아파트 가격도 매년 급등하며 시중의 자금이 부동산으로 쏠리고 있다. 서민 가계 지출에서 부동산, 특히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도 날이 갈수록 커진다.

대다수 서민이 정부의 아파트 정책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하지만 정권이 바뀔 때마다 부동산 정책이 요동쳐 서민들은 혼란스럽기만 하다.

새 정부도 6.19 대책과 8.2 대책 등 연이어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막기 위한 정책을 내놨다.

특히 8.2 대책에 따라 세종시는 각종 규제에 묶여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은 반면 규제에서 벗어난 대전은 신규분양 시장 등에서 풍선효과를 봤다.

여기에 정부가 주택의 전체 공정이 80%에 도달한 이후 입주자를 모집할 수 있는 `후분양제` 도입을 추진하면서 지역 건설업계와 소비자 간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건설업계는 부동산 경기 위축과 대기업 중소기업 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극심해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는 반면 소비자들은 수분양자 중심으로 주택시장이 바뀔 것이라며 긍정적인 반응이다.

후분양제 도입으로 부실시공을 막고 적정한 분양가 산정을 소비자들은 기대하고 있지만 건설사들은 자금부담 등의 이유를 들어 난색을 표하는 것이다. 투기수요 차단 등 도입 취지는 공감하지만 당장에 우려될 수 있는 분양가 상승과 공급물량 축소는 공급자와 수요자 모두 원치 않는 부분이다.

정부의 아파트 정책에 따라 울고 웃고, 기대와 실망이 교차한다. 분명한 것은 아파트는 서민의 보금자리라는 것이다.

사치스럽거나 대형 아파트가 아니더라도 아늑하고 따듯한 주거공간으로의 아파트를 기대한다. 맹태훈 취재2부 차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