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광역단체장 출마를 저울질하는 것으로 알려진 충청권 현역 의원들이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여권 모 인사에 대해선 국정감사 일정이 종료되면 가부간 입장을 밝힐 것이라는 얘기가 퍼지고 있는 모양이다. 현역 의원도 얼마든지 지방선거로 갈아탈 수는 있는 이상 여야를 막론하고 누구누구가 도지사직에 도전하든 시장직에 도전하든 개인의 자유의지 자체를 나무랄 이유는 없을 듯하다.

의원직이 덜 중요하다는 것은 아니지만 광역단체장 자리에 관한한 매력적인 선출직 공직이라는 데엔 이견이 없을 것이다. 시·도 광역행정의 1인자 지위에서 자신의 철학과 원칙을 정책으로 구현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산하 공직자의 인사권을 행사하며 일반·특별회계 예산 편성권 등도 부여돼 있다. 자치경찰제가 시행돼 행정경찰권까지 복속되면 광역단체장의 민주적 리더십은 배가된다고 할 수 있다. 또 개인한테 광역단체장은 상당한 명예로 남게 되고 퇴직 후에는 원로 대접을 받는다. 사실 광역단체장 자리가 주는 여러 프리미엄은 열거하기 나름이다. 그래서 인지 중진 의원 반열에 오르면 곧잘 시·도지사 후보 물망에 오르곤 하는데 충청권 일부 의원들도 그런 경우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특히 충남지사 선거에 곁눈질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고 한다. 현 안희정 충남지사의 3선 불출마 전망이 유력해지자 차기를 노리는 정치인들의 속마음도 덩달아 다급해지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너도나도 지방선거행(行)을 겨냥하는 현상은 한번 성찰해 봄직한 문제가 아닌가 싶다. 그중 중진급 의원이 광역단체장 도전에 나서면 의원직을 사퇴해야 하는데 재·보선 때 충원된다 해도 정치적 무게감내지는 중앙정치 무대에서의 역할 면에서 기대수준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이 대목에서 정량평가가 까다로운 묘한 정치적 기회비용이 발생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선, 4선의원 쯤 돼서 출신 지역 시·도지사를 마음에 품는 일은 일단 신중해야 한다. 그 정도 터를 닦았으면 큰 물에서 크길 바라는 게 인지상정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 못하고 지방선거에 연연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유권자들이 불편해질지 모른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