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달걀`을 모두 회수해 폐기하겠다는 정부 방침에도 불구하고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다. 달걀에서 피프로닐과 비펜트린이라는 맹독성 살충제 성분이 검출됐다는 사실만으로도 충격이지만 도대체 언제부터 이런 달걀이 생산되고 유통됐는지 알 수 없어서다. 유럽에서 살충제 달걀이 문제가 되면서 농식품부에서 조사를 진행 중이던 일주일 전만 해도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국산 닭고기와 달걀은 아무 상관없다. 안심해도 좋다"고 말한 바 있다. 이런 지경이니 정부의 산란계 농장에 대한 전수조사가 어떤 식으로 나오든 그에 대한 신뢰도 역시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 같다.

그동안 불거졌던 먹거리의 안전성 문제를 되새겨보면 몇가지 공통점이 발견된다. 그것은 바로 생산자의 도덕성 해이와 정부당국의 관리 소홀 및 안이한 대처다. 이런 공식은 이번 살충제 달걀 파동에서도 여실히 증명되고 있다. 피프로닐은 개나 고양이의 벼룩, 진드기 등을 없애기 위해 사용되는 살충제 성분으로, 관련법에 따라 닭에 대해서는 사용할 수 없다. 사람이 다량으로 섭취하면 장기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는 독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 비펜트린은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다. 그럼에도 이번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산란계 농가들은 이를 버젓이 사용하고, 생산된 달걀은 `친환경`으로 둔갑돼 유통됐다. 농림수산식품부나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런 살충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과연 모르고 있었는지, 알고서도 방치했는지 진상을 밝혀야 할 책무가 있다.

당국이 산란계 농가에 대한 전수조사에 착수하고 살충제 달걀이 속속 발견되면서 후폭풍도 거세지고 있다. 어린아이들을 둔 가정의 `먹거리 공포`는 물론이고 달걀을 주원료로 하는 제빵 제과업체 등의 타격도 늘고 있다고 한다. 정부는 달걀 수급 및 가격 안정 등을 포함한 여러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민적 불안을 해소하는 것이다. 이제부터라도 살충제 성분의 인체 유해성 여부 등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재발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얘기다. 아울러 친환경 농산물 인증제도에 대해서도 손을 보기 바란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