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여러 가지 중요한 쟁점들이 많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2030년 아시안게임 유치계획이다. 지난 3월 초 대전시에서 2030년 아시안게임 유치를 제안하고 지역의 학계, 언론, 체육계에서 분위기 조성에 나서고 있으며 현재는 대전·세종 연구원에서 아시안 게임 유치 정책연구 과제가 계속 진행 중인 상황이다.

유치 계획에 찬성하는 측의 주장은 대전의 미래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국제 행사라는 논리와 서남부 스포츠 타운 개발과 건설에 대한 기대감도 매우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유치 계획에 반대하는 측의 주장은 대표적으로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의 사례를 들며 막대한 재정투입에 대한 부담, 성공에 대한 불확실성, 시설에 대한 사후 유지관리에 대한 부담 등을 내세우고 있다.

과연 우리는 새롭게 부상된 `아시안게임 유치`라는 화두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하계 올림픽, 동계올림픽, 월드컵, 세계육상선수권 대회는 4대 스포츠 메가 이벤트로 불리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1988년 서울 올림픽, 2002년 월드컵, 2011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최에 이어 내년 초 평창 동계올림픽까지 더하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게 된다.

그랜드 슬램! 정말 위대한 성과인가? 대형 국제 스포츠 행사를 유치하는 것이 그 지역의 발전을 앞당기고 일자리가 창출돼 지역 주민이 행복해지는가에 대한 정확하고 면밀한 분석이라는 것이 존재하기는 하는 건가? 스포츠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 있어 세계적인 행사를 유치하는데 가장 먼저 내세우는 것이 총생산 효과, 부가가치, 고용 효과, 관광수입, 경제적 효과가 얼마인지에 대한 홍보이다. 2011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 대회의 경제적 효과를 약 10조 원,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의 경제적 효과는 18조 5000억 원,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은 65조 원의 경제적 효과가 있다고 했는데 그 결과는 어떠한가? 대구와 인천은 대회를 치르고 난 이후 각각 약 2300억 원, 1조 원에 달하는 엄청난 재정 적자를 봤으며 평창은 언급하기도 민망한 여러 가지 재정적 문제가 누적돼 지금까지 오고 있는 것이다. 유치 찬성론자들이 전가의 보도처럼 휘둘러대는 경제적 효과가 얼마나 허황된 것인지는 2010년 G20 개최 당시 경제적 효과를 450조 원이라 홍보했던 것을 돌이켜보면 더 이상의 언급도 필요가 없을 정도이다.

물론 세계적인 스포츠 행사 개최의 효과를 경제적인 효과만을 가지고 평가하는 것은 편협한 시각으로 바라보며 개최 도시의 홍보 효과, 시민통합 등 무형의 효과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그러나 과학기술, 연구개발의 메카이자 대한민국 국토의 중심인 우리의 자랑스러운 대전을 더 이상 어떻게 이미지 제고 할 것인지도 의문이지만 도시 홍보 효과를 통해 아시아의, 세계의 유명한 도시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는 주장에는 이렇게 답변하고 싶다. 대전 시민들에게 심권호, 문대성, 박태환, 김연아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했던 올림픽 개최 국가와 도시가 어디인지 질문한다면 과연 몇 명이나 알고 있을까?

필자는 대학에서 체육학을 가르치는 교수이며 그 누구보다 스포츠를 사랑하는 스포츠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시안게임 유치계획에 대해 비판적 시각으로 접근하는 가장 큰 이유는 도대체 누구를 위한 아시안게임 유치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다시 말해 이번에 제기된 아시안게임 유치 계획에는 `시민`이 빠져 있다는 것이다. 만약에 2030년 아시안게임이 대전에서 개최돼 흑자를 내고 성공을 하면 그 혜택과 영광은 마땅히 `시민`이 누려야 할 것이며 엄청난 재정 적자가 나타난다고 해도 그 책임과 부담은 오롯이 `시민`에게 전가될 것이다. 따라서 아시안게임 유치가 특정인의 전유물이거나 치적으로 포장돼서는 안되며 오직 `시민`을 중심으로 모든 것이 진행돼야 한다. 대전시 발전을 위한 길에 있어서 아시안게임 유치는 정답이 아니다. 왜냐 하면 그보다 더욱 중요하고 유용한 대안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이혁 한밭대 스포츠건강과학과 교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