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한국 상품에 대한 통관제재를 슬며시 풀었다고 한다. 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코트라 등에 따르면 한국산 식품 통관 샘플링이 사드배치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는 것이다. 중국은 그동안 사드 보복조치로 샘플링 개수를 늘리는 방법으로 통관제재를 강화해왔다. 심지어 상품 라벨까지 꼼꼼히 살피고 표기법을 트집 잡아 통관을 불허하기도 했다. 하지만 새 정부 출범이후 분위기가 급속도로 달라진 것이다. 중국내 한국 상품 불매 분위기도 점차 잦아지고 한국 업체의 상품 설명회도 성황을 이뤘다고 한다. 한국의 드라마나 공연은 물론 중단된 한국행 단체관광도 조만간 재개가 기대되는 분위기다. 비정상의 상황이 정상으로 돌아왔다고 하니 반길만한 일임에 틀림이 없다.

갑작스런 중국의 태도변화는 새 정부의 사드배치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고려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더구나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한·중 정상 간의 통화는 물론 특사를 파견하는 등 관계개선 분위기를 보이자 중국도 일종의 `성의`를 보인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렇다고 현재 상황에서 중국의 보복조치가 종식된 것은 분명 아닐 터이다. 사드 배치의 결론이 중국 의도대로 맺어지기를 바라는 것은 변함이 없다고 보면 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중국의 태도가 또 어떻게 돌변할지 알 수 없는 일이다.

한국 상품에 대한 보복성 규제가 사라진 것은 환영할 일이지만 섣부른 기대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중국의 태도나 향후 추이를 좀 더 차분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 아직도 중국내에선 `한국이 사드배치를 백지화 하도록 지속적으로 압박을 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고 한다. 사드 문제가 어떻게 결론이 날지 모르겠지만 결과에 따라 제2의 보복조치를 배제할 수 없는 일이다. 우리가 사드보복으로 큰 피해를 입은 것은 대 중국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기 때문이다. 우리 수출의 25%가 중국이다. 지난해 전체 외국관광객의 47.6%가 중국인이다. 더 늦기 전에 수출시장 및 외국관광객의 다변화를 서둘러야 한다. 쉽지는 않겠지만 한국이 중국의 경제 보복조치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는 방법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