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제 주요 대선후보 5명이 TV토론을 벌인 뒤부터 안보 이슈를 둘러싼 각 후보진영간에 장외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안보 관련 토론은 누가 잘 묻고 답변은 누가 잘했느냐는 하는 2분법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만으론 미흡하다. 나라의 최고공직에 오르려고 결심한 마당이면 적어도 국민 눈높이 수준을 충족시킬 정도의 명료한 인식과 함께 이를 뒷받침해줄 수 있는 논리로 탄탄히 무장돼 있어야 한다. 이번 스탠팅 토론에서 아쉬움이 남는 것은 그런 안보관과 직결된 각 논제에 대해 후보들 화법이 적잖이 싱거워보였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일례로 북한을 `주적`으로 보느냐에 대한 공방의 경우 중간에 끼인 형국인 국방부가 나서서 북과 북한정권이 `우리의 적`이라며 `팩트 체크`해주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았지만 토론 현장에서 갈무리되는 게 바람직했다. 안보적 관점에서 북한 하면 북정권과 북군부를 지칭하는 것이고 따라서 이들 세력이 남한에 대한 무력도발 의사를 포기하지 않는 이상 `주된 적` 임을 부정하기 어렵다. 그런 이슈가 대선후보 토론장으로 옮겨왔다 해도 사정은 달라지지는 않는다. 이를 다른 수사적 표현으로 대응하려 들면 말이 더 꼬이는 수가 있다. 그리고 주적이든 주된 적이든 어떤 언어를 동원해도 이 때문에 대선민심이 민감해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 단골메뉴인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 역시 정치적 고려와 판단이 과잉되면 말이 장황해지고 본질적 가치에서 멀어질 수 있다는 평범한 사실을 머릿속에 담아둬야 이롭다. 요컨대 사드는 선악 차원이 아니며 북핵·미사일 고도화에 대한 한미동맹 차원의 자위적 요격 수단임을 모르지 않는다면 그 사실관계를 짚어주면 그만이다. 그러면 색깔론이나 안보불안 이미지 논란은 힘을 잃게 돼 있다.

A후보, B후보, C후보 등 누군가는 대선승자가 될 것이고 이들 모두 그 꿈을 향한 도전자들이다. TV 토론은 그래서 누가 대통령감에 근접한지를 유권자들에게 검증받는 균등한 기회다. 맞붙을 기회는 최소 3차례가 남아있다. 그때 그때 안보영역 수능점수를 끌어올리고 싶으면 `선행학습`을 충실히 하고 나와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