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대선은 나라 안팎으로 복잡다단한 환경 속에서 치러진다.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정치지형 급변과 초유의 권력공백은 역대 최대 후보등록을 초래했다. 북핵 위기가 가져온 한반도의 불확실성 증대는 미국과 중국의 움직임에 긴박감을 더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보수와 진보의 맞대결이 희미해졌음에도 안보가 최대 쟁점으로 떠오르는 양상이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의 양강 대결 구도 속에 범보수 진영이 힘을 잃으면서 지역색도 누그러들고 고질적 병폐였던 `묻지마 투표` 성향이 사라질 것이란 기대도 커진다. 대신 그 자리에 세대 대결이 파고들면서 또다른 갈등요소로 등장할 조짐도 엿보이고 있다.

오늘 0시부터 대통령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됐다. 후보 등록을 마친 15명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5월 8일 자정까지 22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한 것이다. 이번 대선은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인해 국민들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은 것 같다. 선관위가 어제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적극 투표층이 82.8%에 달했다. 이는 18대 대선 때보다 4.6%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반면 선거가 7개월 당겨졌기에 준비기간 부족으로 인한 부작용도 우려된다. 유권자들로선 아직 후보의 면면도 제대로 모르거니와 어떤 공약을 내세웠는지도 파악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뒤따르고 있다.

대선이 급작스런데다 후보 난립 등으로 검증이 원활치 못할 것이란 우려는 일부 현실화되고 있다.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됐지만 공약집 하나 제대로 찾아보기 힘들다. 성향이 비슷한 후보 간 초접전이 벌어지면서 정책적 차이를 구별하는 것이 쉽지 않다. 캠프에서 제기하는 의혹의 진위 분간도 어렵고, 검증을 빌미로 혼란을 부추기기도 한다. 이런 맹점을 불식하기 위해서는 여러 조치가 필요하다. 먼저 양강구도를 형성한 문 후보와 안 후보 간 TV 끝장토론 등을 도입하고, 제기한 의혹이 사실이 아닐 경우 후보 사퇴 등 극단적 방법도 모색해야 한다. 유권자 역시 선거운동기간만이라도 선거에 신경을 곤두세워야 한다. 그래야 제대로 된 대통령을 선택할 수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