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의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성장, 고용, 정책금리 등에 대한 지표가 악화되고 있다. 경제성장률은 2%대에 진입했으며, 고용시장은 산업 구조조정 여파에 청년실업 증가까지 악재가 산적해 있는 실정이다. 청년 실업률 증가와 고용 불안의 여파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창업으로 눈을 돌리고 있지만 이것마저 쉽지만은 않다.

한국의 자수성가 비율은 23%로 중국의 97%, 일본의 73%, 미국의 63%대 비해 턱없이 낮은 수치이다. 세계 국가별 자수성가 비율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에서 창업으로 성공하는 것은 `가뭄에 콩` 나는 것처럼 어렵기만 하다.

고도화된 경제 속에서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고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술력과 경쟁력을 보유한 예비 창업자 및 창업 기업은 끊임없이 정진해 나가야 하며, 이러한 기업을 지원하고 육성하는 것이 국가의 역할이다.

이제 막 출발하는 창업 및 벤처기업에게 주어지는 정부지원은 마치 가뭄의 단비와도 같다. 마케팅, 법률, 인사, 회계, 개발, 경영 등 소수의 인력으로 기업이 해결해야 하는 과제는 산더미처럼 쌓여 있으며, 개인의 역량에 기댈 수 없을 만큼 산업은 고도화 되어 있고 경영 환경은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기에 직면한 경영자 및 실무자들은 정부 및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기관을 통해 경영지원을 받을 수 있다. 중소기업청,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진흥원, 소상공인 진흥공단 같은 기관이 대표적이다.

실제로 많은 기업들이 해당 기관을 통해 창업 공간, 창업지원금, R&D자금, 수출, 마케팅 지원을 받아 안정적인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각 단체에서 진행하는 설명회에 참석해 정부지원 동향과 지원 일정에 대해 파악하고, 철저한 사전 준비를 통해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유통센터를 통해 제품홍보, 온라인판매지원, 공동 A/S지원, 구매상담, 홈쇼핑출연, 백화점 입점 지원 사업 등 다양한 형태로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R&D)을 통해 9500억 원을 출연금 형태로 지원하고 있다.

각 지역에 위치한 창조경제 혁신센터를 통해 지원되는 정부 사업들도 주목할 만하다. 창조경제 혁신 센터를 통해 유통·판로지원, 글로벌 수출지원, 청년일자리, 창업상담, 크라우드펀딩, 시설 활용 등 창업 및 기업 경영에 필요한 실무적인 지원을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의 핵심 정책이었던 `창조경제` 정책과 함께 창조경제혁신센터도 바람 앞의 등불과도 같은 처지다.

창업자에게 정부지원은 필수적인 요소이며, 이러한 정부 지원은 우리 사회에 절실하게 필요하다. 또한 막대한 예산을 투자해 창조경제의 인프라를 마련 한만큼 스타트업 기업을 육성하고 벤처기업을 지원하는 정책 방향은 정권에 관계없이 유지돼야 한다.

창업기업을 육성하고 지원하는 것은 창업자와 한국사회가 상생할 수 있는 지름길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김태복 중고왕 대표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