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범(汎)도민 비상대책대위측이 지난 27일 KTX 세종역 신설을 저지하기 위해 조직화된 반대 운동을 천명함에 따라 세종역 문제가 5월 대선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자유한국당의 발 빠른 운신이 감지된다. 대선 후보를 확정하는 31일 이후 세종역 저지를 대선공약으로 공식화해 반대여론에 힘을 실을 것이라고 하며, 그럴 경우 다른 정당들로 세종역 문제에 대한 태도 면에서 적잖이 부담을 느끼는 상황과 마주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KTX 세종역 문제에 관한 충북 쪽 부정적 여론은 매우 견고해지는 편인데다 남공주역을 보유한 공주시민들도 동조화 추세를 보이는 현실은 달라진 점이 발견되지 않는다. 두 지역의 반대 논리는 알아 듣기 어렵지 않다. 오송역과 남공주역 중간에 세종역사를 추가로 세우면 `저속철`로 전락하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이며 이 후과로 인해 세종시 관문역에 해당하는 오송역은 물론 인접한 남공주역까지 퇴조현상을 면치 못하게 된다는 것으로 압축된다. 이를 토대로 국가균형정책에 반하며 정치적 포퓰리즘이라는 비판 논리로 확장된다고 보면 맞다. 세종역 신설을 주도해온 이해찬 의원측과 이춘희 세종시장 측은 아직 후퇴할 기미가 안 보인다. 이를 전략적 침묵으로 해석할 수 있겠고 한편으론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발주한 세종역 신설 타당성 용역 경과와 무관치 않을 듯하다. 이런 상황에서 충북 비대위가 세종시 광역철도(GTX) 구축, 간선급행버스(BRT) 공주시 연장, 오송역 복합환승센터 건립 등 3가지 상생방안을 제시한 점에 눈길이 간다. 먼저 매듭을 풀 패를 보였다는 의미와 함께 개별 방안에 대해 효율성, 재원 문제 등을 면밀히 따져본 뒤 세종역 신설에 비해 정차 실현될 이익이 크다면 새 국면의 모멘텀이 될 수도 있다는 기대를 해본다.

세종역 신설 갈등으로 인해 자치단체간, 지역민 간 앙금이 누적돼 충돌·반목이 커지는 것은 부담이다. 상황관리 차원에서 가능하다면 이해를 공유하는 주체들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가동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전에 자중지란에 빠져 들면 안되겠기에 하는 고언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