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 임금 및 고용률 격차 등을 나타내는 우리나라의 사회통합 수준이 20여 년 넘게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한 `사회통합지수 개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1995-2015년 5년 마다 측정된 우리나라의 사회통합지수 종합지수는 지수값 0.2대를 기록하며 5차례 모두 OECD 30개 회원국 중 29위를 기록했다.

연도별 지수값을 살펴보면 1995년 0.257에서 2000년 0.228, 2005년 0.198까지 낮아지다가 2010년에는 0.211, 2015년에는 0.207을 각각 기록했다.

사회통합지수는 종합지수 외에 사회적 포용, 사회적 자본(시민참여, 기관신뢰 등), 사회이동(공교육지출, 교육성취도 등), 사회갈등과 관리(자살률, 비정규직-정규직 급여격차) 등 4개 영역으로 구분돼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사회구성원이 사회 제도를 통해 권리를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자원을 향유할 수 있게 하는 제도 역량인 `사회적 포용` 항목에서는 모두 최하위인 30위를 기록했다.

사회적 포용 영역은 상대빈곤율, 성별 임금 및 고용률 격차, 비정규직 고용보호, 비자발적 임시근로자 비율, GDP 대비 노령 지출 등 5개의 지표로 구성돼 있다. 이중 성별 고용 및 고용률 격차의 지수값은 모두 0이다.

연구진은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의 고용 상태와 임금 수준에 있어서 성별 차이가 심각한 수준이며, 지수값의 추이로 보면 성별 격차는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사회적 자본 영역은 22-23위로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2015년 기준 높게는 9위에서 낮게는 20위를 기록한 일반신뢰, 관용, 시민참여 등 세부지표 중 시민적 자유는 27위에 그쳤다.

이밖에 사회이동 영역은 2015년 기준 0.344로 24위, 사회갈등과 관리 영역은 0.377로 26위를 기록했다.

한편 OECD 회원국 중 2015년 사회통합 지수 종합지수 1위는 덴마크로 지수값 0.935를 기록했으며, 노르웨이(0.858)와 핀란드(0.854)가 각각 2, 3위인 것으로 집계됐다.박영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