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한우고기 가격이 이상현상을 보이고 있다. 산지가격과 도매가격은 하락하거나 소폭 오르는데 그치는 반면 소비자가격은 그대로이거나 큰폭 오름세다. 축산유통종합정보센터 한우고기 유통가격동향을 보면 등심 1㎏ 도매가는 지난 3일 4만5048원에서 14일 4만5252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반면 이 기간 소비자가는 7만6125원에서 7만8697원으로 올랐다. 5개월 전인 지난해 9월 12일 7만9997원과 비교해도 1.6% 하락하는 데 그쳤지만 도매가는 6만1740원에서 4만5252원으로 26.7% 1만 6488원 내렸다. 이에 정부가 소비자단체와 함께 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한우고기의 산지가와 소비자가 엇박자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복잡한 유통단계를 주 원인으로 꼽는다. 산지에서 최종 소비자에게 가기까지 축산농가-도축장-중도매인-가공업체-정육점을 거치는 구조라고 한다. 이러는 사이 단계별로 마진을 붙이며 전체가격의 약 40%를 차지한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중간상들이 가져가는 이윤이 붙으며 거품이 많다고 봐야 한다. 이들의 농간도 문제다. 한우를 구입해 놓고 도축하지 않아 산지가격이 떨어져도 소비자가와 연동되지 않는다. 소비자들의 부위별 선호도도 가격상승을 부채질 한다. 등심 등 인기 부위는 소1 마리에서 나오는 양이 적은 만큼 수요에 비해 공급이 달려 가격이 치솟게 된다. 여기에 비인기 부위나 청탁금지법 여파로 판매부진에서 발생한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인기부위에 전가한다고도 한다. 시쳇말로 소가 웃을 일이다.

축산물의 왜곡된 유통구조 개선은 가격파동 때마다 나왔지만 별반 개선된 게 없다. 그렇다고 농가나 소비자는 봉이고 중간상만 배불리는 구조를 마냥 놔둘 수는 없다. 가격에 부담을 느낀 소비자들이 발길을 외국산으로 돌리면 한우 소비기반은 더욱 위축될 게 뻔하다. 이를 막기위해서는 급한대로 중간상들에 대해 행정지도를 벌여 폭리를 차단하고 과세당국은 세금을 제대로 내고 있는지도 꼼꼼하게 살펴봐야 한다. 생산자는 제값을 받고 소비자는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투명하고 합리적인 유통체계로 개혁도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