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난속 정부지원 선정 사활 3-5년 한시적 운영 계약직 양산 마무리 시점 퇴사·저임금 선택 올해 종료 링크사업 직원 한숨

교육부가 추진하는 단기 재정지원사업이 구조적인 모순으로 대학가 비정규직을 양상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

한시적인 국책사업에 대학들이 정규직 대신 비정규직을 고용해 사업이 존속할 때까지만 끌고 가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올해 종료되는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소속 직원들이 가장 먼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충청권 대학들은 지난 2012년 LINC사업을 시작으로 학부교육선도대학육성사업(ACE사업), 대학 특성화 사업(CK사업) 등 교육부의 국책사업 공모에 신청, 대학별로 2-7개 사업단을 운영하고 있다. 대학 구조조정과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재정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 교육부의 재정지원사업이라도 하지 않으면 명줄이 끊길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다.

문제는 재정지원사업의 지속기간이 3-5년에 불과해 대학마다 인건비 부담을 이유로 관련 인력을 비정규직으로 채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천안에 소재한 A대학은 국책사업에 선정된 뒤 사업단의 정규직은 7명, 비정규직원은 17명이 늘었고 B대학의 사업단은 정규직 13명, 비정규직은 45명으로 대폭 늘어났다. 이들 대학들은 사업 규모에 따라 2-4명을 추가로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대전지역 대학도 마찬가지다.

올해 사업이 종료되는 LINC사업단을 운영중인 C대학은 사업단의 정규직은 4명인 반면 계약직 직원만 18명에 달한다. 이 중 계약직원은 8명, 정년이 보장되지 않는 교수만 10명으로 사업이 종료된 이후에는 적은 보수만 받고 남아 있거나, 스스로 나가야 하는 선택을 해야 한다. 인건비가 사업단과 교비 매칭으로 이뤄져 사업이 종료되면 월급이 50% 이상 줄어들어서이다. 이 대학 한 관계자는 "국책사업을 따오면 전담인력을 배치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 때문에 비정규직 위주로 직원을 뽑을 수밖에 없다. 사업이 끝났다고 해고할 수도 없고 대학으로서는 큰 부담"이라며 "만약 사직을 강요할 경우 불평등계약으로 소송이 들어올 수 있어 대학으로서는 끌어안을 수도, 그렇다고 내칠 수도 없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립대는 교육공무원직 정원(TO)이 정해져 있어 정규직원을 채용하고 싶어도 채용할 수 없는 문제로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비정규직만 채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교육부가 대학의 핵심역량을 강화하라고 하면서 정작 내실있는 지원을 해주지 않아 그 부담이 고스란히 대학에 가해지고 있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실적 위주의 정책이 결국 대학의 핵심역량을 떨어뜨리고, 비정규직을 양산하는 주범이 될 것이라며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대안 마련 등 교육부 정책을 원점에서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원세연·황진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원세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