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민심 "의원직 내놔라" 격앙 "부끄러운 일… 적절치 못했다" 정치권도 정당초월 강력 비난 이장우 의원, 윤리위 제소 대응

<속보>=국회 본회의장에서 대전시민을 비하한 국민의당 김동철 의원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본보 6일자 5면 보도>

6일 정치권에 따르면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비판론이 거세게 일고 있으며, 여야를 떠나 김 의원의 부적절한 막말 파문에 대한 지적이 곳곳에서 표출되는 상황이다.

이날 대전지역 오피니언 리더와 새누리당 대전시당은 김 의원의 대전 비하 발언을 강력 규탄하며, 책임론을 제기했다. 또 일부의 경우 지난해 호남고속철도 개통 당시 김 의원이 KTX의 서대전역 정차를 반대한 전력을 문제 삼으며, 직접 김 의원실에 항의하기도 했다.

강병호 대전대 교수는 김 의원 막말과 관련 "지금이 어느 시대인데 특정 지역민을 폄훼하고 지역감정을 부추기는 발언을 공식석상에서 할 수 있는지, 자질이 의심스럽다"며 "4선 국회의원으로서 김 의원의 처신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수준으로 지금 국회가 얼마만큼 난장판인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지난해 김 의원은 호남선 KTX의 서대전역 정차를 결사 반대하는 데 앞장선 인물로 알고 있다"면서 "김 의원이 대전에 대해 왜 이렇게 부정적인 지 알고 싶다"고 피력했다.

일각에선 김 의원이 의원직을 내놔야 한다는 다소 격앙된 목소리도 나왔다.

주종식 용운동 꿈에그린경로당 회장은 "개인적으로 이 의원에게 어떤 감정이 있는 지 모르겠지만 전국민이 보는 자리에서 대전시민에 대해 모욕적인 얘기를 한 것은 국회의원 자질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광주로 쫓아가 항의하고 싶을 만큼 화가 난다. 김 의원처럼 말을 함부로 하는 사람은 차라리 국회의원을 그만 둬야 한다"고 꼬집었다.

새누리당 대전시당도 김 의원 성토에 가세했다. 새누리당 시당은 성명을 통해 "김 의원의 대정부질문 석상 대전시민 폄하 발언은 반이성적 언동이자 특정지역과 주민을 상대로 한 인격모독적 막말"이라면서 "현재 대전시민은 끓어오르는 분노를 삭이고 있다. 김 의원 스스로 `국민이 판단해서 김동철이 잘못했다면, 저는 의원직을 사퇴한다`고 말한 것을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 내에서도 여야를 떠나 김 의원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거세다. 새누리당 김희옥 혁신비대위원장은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국회 발언 과정에서 파행이 발생하는 등 국민 여러분께 부끄러운 일이 연일 일어나고 있다"며 "품행과 윤리의식 기준을 강화해 품격 있는 국회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야당에서도 마찬가지다. 더불어민주당 중진인 박병석 의원은 "적절치 못했다. 신중하지도 적절하지도 못한 발언이었다"고 지적했다.

이날 이 의원이 국회 윤리특위에 김 의원에 대한 징계 요구서를 제출했는데, 20여 명의 동료 의원들이 서명을 해준 것도 같은 맥락이다.

김 의원에 대한 성토가 국회와 지역에서 줄을 잇고 있지만 정작 당사자와 국민의당은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당사자인 김 의원은 5일 국회 대정부질문 파행이후 속개된 본회의에서 대전시민들에게 유감의 뜻을 피력한 것으로 갈음하려는 의지가 역력했고,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 역시 "이미 끝난 일"이라며 더 이상 문제 삼지 않을 뜻을 내비쳤다. 막말·저질정치를 청산하겠다고 큰소리쳤던 20대 국회가 첫 본회의 대정부질문에서 파행을 야기시킨 `막말 파문`을 `제 식구 감싸기`식으로 덮겠다는 심산으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이와 관련 새누리당 이장우(대전 동구) 의원은 6일 국회 대정부질문 도중 자신을 `저질 국회의원`으로 비난하며 대전시민들이 투표를 잘못해 자신이 당선됐다는 취지로 발언한 국민의당 김동철 의원을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제소했다. 국회법 제156조는 모욕을 직접 당한 의원이 가해 의원에 대한 국회 차원의 징계를 요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윤리특위는 위원장 또는 위원 5명 이상의 징계 요구가 있어야 징계 안 심의에 착수할 수 있다. 송충원·성희제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성희제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