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화 핵심은 바른의식 고취 이념·정치적 갈등 사회적 혼란 집필 전과정 독립·투명성 보장 균형잡힌 사실로 정체성 확립을

대한민국은 교육 정상화와 국가정체성 확립을 위한 역사전쟁중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6일 통일준비위원회에서 통일을 앞둔 국민의 확고한 국가관을 위해 바른 역사의식을 고취할 공교육 개선이 시급하다고 당부했다. 국사 국정화 논쟁과 중국·일본과의 역사전쟁에 박근혜대통령이 선봉에 서서 독려하는 정국이다.

야당의 반대는 거세고 참모와 장수들은 빈약 하지만 명분이 분명하니 박대통령의 역사 전쟁은 승리 할 것이다. 김영삼(YS)-이명박(MB)정부 20년 국사교육 오류와 개선 방안을 소상하게 밝히는 `국사교육 정상화 백서`를 발표, 국민을 설득하고 역사교육을 3·86 운동권의 좌편향 사관의 굴레에서 벗어나게 해야 한다. 교육과정·국사 교과서 지침서·검정 작업을 담당했던 YS-MB 정부의 교육부와 국사편찬위원회 담당자와 청와대 교육문화 비서 등의 직무유기를 따져 그 책임을 묻고 이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국사교육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박근혜 정부 개혁 성패를 평가할 역사교육 정상화 작업이 교육부의 미숙한 행정 등으로 본궤도 오르지 못하고 찬·반 힘겨루기로 본질이 흐려지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국사교과서 국정화 찬반 진영 논쟁은 조선후기 당쟁과 공자까지 비판했던 중국 문화혁명의 홍위병 난동에 버금가는 갈등으로 비화되고 있다. 국사교육 정상화 작업을 추진하는 정부 요직들을 `오적`으로 대표 집필자들을 인터넷 트위터 등 SNS에 "나라를 망치는 늙은이"로 비하하는 선전과 걸림돌을 처내는 운동권식 선동까지 난무하고 있다. 상고사를 집필하기로 했던 최몽룡 서울대명예교수가 위촉 2일만에 자진사퇴했다.

국사교과서 국정화 발표후 3주간 정쟁 도구로 변질됐던 역사교육 정상화 논의는 3일 정부의 국정 전환 고시와 황교안 총리가 "검정교과서가 특정단체나 학맥에 예속된 집필진에 의해 다양성이 실종된 한 종류의 좌편향교과서"라는 요지의 `역사교육 정상화를 위해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으로, 역사교육 개선 논의를 다시 본궤도로 돌려 놓았다. 그러나 4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박근혜정부 역사 교과서 국정화는 전체주의적인 발상이자 자유민주주의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비난하면서 `국민불복종 운동`을 촉구, 국사교육 정상화 논의가 다시 정쟁으로 불 붙었다. 그래서 6일 한국갤럽의 11월 1주 여론조사에서 국정화 반대 여론은 53%로 10월 2주(42%)에 비해 11%포인트나 높아졌지만 새정치연합의 정당 지지도도 2주 전에 비해 2%포인트 떨어진 20%로, 문 대표 취임한 뒤 가장 낮은 지지율이다.

역사교육 정상화 논의의 핵심은 미래 세대에게 바른 역사 의식을 심어줄 건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관, 기술 내용의 진실성, 집필 과정의 독립성 투명성 보장 등이다. 새교과서는 3·86운동권의 민중사관과 사회주의 좌편향 시각에 포로가 된 현대사 수정 뿐만 아니라 수수께끼 투성이 상고사와 일제 식민사관을 극복 못한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고려 조선사도 새롭게 해석 정리 돠어야 할 것이다.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건국 신화는 긴 이동 과정을 거쳐 한반도에 정착한 역사적 사실을 함축하고 있으나 한국상고사는 아직도 식민사관이 설정한 반도사관을 완전히 탈피하지 못했다.

고고학 인류학 언어학 종족학 국제정치학의 종학적인 연구로 잃어버린 민족사의 뿌리·에네르기 등을 밝히는 상고사 체계화로 한국사의 지평을 넓혀야 할 것이다. 쟁점이 된 1948년 8월15일 국가 건국과 한국을 강대국 대열에 드러서게 한 현대사 주역들에 대한 인물 평가도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국사교육 정상화에 대한 일부 국사학자들의 집단 저항이 있긴하나 2014년 역사학대회 기조논문은 "학술논쟁을 서명이나 시위로 해결하려는 이념논쟁과 정치투쟁은 학문으로서의 역사를 부정하는 것"이라며 학술 전사화한 일부 국사학자들을 비판했다.

언론인 전언론법학회 감사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의 보도 및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