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사 회장들이 직원들에게는 고통분담을 강요하면서 정작 자신들의 연봉은 다시 올리려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금융지주와 신한금융지주는 30억 원에 달하는 최고경영자(CEO)의 연봉에 대한 비판 여론으로 지난해 낮췄던 보수 한도를 주주총회를 통해 다시 올리기로 했다. 신한금융지주는 60억 원이었던 이사 보수한도를 연봉에 대한 비판여론으로 지난해 30억 원으로 삭감했지만, 27일 예정된 주주총회에서 45억 원으로 늘린다는 것이다. 하나금융 지주도 지난해 7만 주였던 '성과 연동 주식보상'의 한도를 5만 주로 줄였지만, 이를 다시 7만 주로 원상 복귀할 방침이다.

지난해 은행권 순이익은 6조 2000억 원으로, 사상 최대인 15조원의 순익을 거둬들였던 2007년과 비교하면 절반에도 이르지 못한다. 특히 올해 기준금리가 1,75% 까지 하락한 초저금리 시대를 맞아 '안심전환대출'이라는 금융상품까지 출시되면서 대출금리 인하 압박으로 이어져, 은행의 순이익은 더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는 상황이다. 이런 위급한 상황을 대처하기 위해 은행직원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희망퇴직 등 구조조정을 단행하면서도 주요 인건비 가운데 하나인 CEO연봉을 높이고 있는 것은 '도덕적 해이'이며, 비난받아 마땅하다. 이는 재임 기간에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회장과 많게는 7000만 원이 넘는 고액연봉 등의 특혜를 누리며 '거수기' 역할을 하고 있는 사외이사의 협력이 있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고액연봉으로 인해 금융지주 회장 자리는 대통령 측근이나 경제 관료들 등 이른바 낙하산들의 암투장으로 변질된 지 오래다. 더 큰 문제는 이들 '관피아'들이 수십억 원의 연봉을 받으며 자리를 승계하는 동안 금융지주는 허약한 체질로 변해버렸다는 것이다. 따라서 금융지주사에 대한 제도개선을 통해 최고경영자 자리에 합당한 인사가 오를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금융지주 회장과 은행장들의 '고액연봉 챙기기'를 막기 위해서라도 연봉을 실적에 연동되도록 손을 보아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