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사고로 매년 300명 가까이 생명을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전거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사고도 많아지고 희생자도 끊이지 않는 것이다. 이용자들의 안전의식 결여가 주요 원인이라고 한다.

국감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만 3316건의 자전거 사고가 발생하고 282명이 사망했다. 최근 5년 동안 매년 1만2000-1만4000건의 사고가 일어나고 270-340명이 숨졌다고 한다. 인구 10만 명 당 사망자가 0.6명으로 OECD 국가 평균 0.4명에 비해 훨씬 높았다. 대전·충남·충북도 매년 200-500여 건의 사고가 일어났고, 대전의 경우 지난해 6명이 사망했다.

자전거는 환경오염도 줄이고 건강도 챙길 수 있는 21세기형 교통수단이다. 버스나 택시, 자가용, 도시철도 등에 비해 도로건설이나 유지, 운영비용이 훨씬 적게 들어간다.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적고 건강에 매우 좋은 일석이조의 교통수단이다. 이 때문에 중앙정부는 물론 지자체도 자전거 전용도로를 만들고 공공자전거 제도를 도입하는 등 활성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대전의 경우 2009년부터 공용자전거 '타슈'를 도입, 현재 시내 144곳에 1500대를 운영 중이다. 내년 3월까지 15곳, 20대를 더 늘릴 계획이다. 대중교통도시를 표방한 세종시도 2030년까지 대여소 50곳, 공공자전거 6000대를 도입할 예정이다.

허나 자전거를 너무 만만하게 여기는 경향이 농후하다. 안전모를 쓰면 사망사고를 90% 줄일 수 있지만 이용자의 75.1%가 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전거를 타면서 이어폰이나 휴대폰을 사용하고, 야간에 전조등, 후미등 같은 등화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도 46.6%나 됐다. 우리나라는 자전거 전용도로가 적어 곳곳에서 차도와 겹치는 등 도로의 구조적 결함도 큰 편이다.

자전거 활성화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다. 기왕 자전거를 살리려면 전용도로를 확대하고, 안전시설도 크게 확충할 필요가 있다. 교통안전공단과 지자체의 안전교육과 홍보도 강화돼야 한다. 무엇보다 자전거 이용자 스스로 안전모를 쓰고 안전을 생활화하는 자세다 시급하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