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부족·시설 노후·공익성 충족 부담 가중 박람회후 재창조 계획 수차례 물거품·적자 누적

7일이면 대전 엑스포가 개최된 지 20년을 맞는다. 대전 엑스포는 대덕연구개발특구와 함께 '과학도시 대전'을 상징해 온 '엑스포 과학공원'을 시민에게 남겼다. 하지만 엑스포과학공원은 시대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청산명령','민자유치 실패' 등의 우여 곡절을 겪으면서 '대전의 상징'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위상의 변화를 겪었다. 최근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입주가 결정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은 엑스포과학공원의 향후 20년이 주목된다.

◇재창조를 향한 숱한 시행 착오 =대전 엑스포는 개발도상국에서는 처음 치른 세계박람회로, 1993년 8월 7일부터 11월 7일까지 3개월 동안 1400만 명이 넘는 관광객을 불러 모았다. 박람회 폐막 후 국내 상설전시관을 재 단장해 1994년 문을 연 것이 엑스포과학공원이다. 이후 엑스포과학공원은 1999년에 정부로부터 자산과 기금 986억 원까지 물려 받으면서 대전시와 지방공사의 손에 운영이 맡겨졌다. 하지만 공원은 연간 100억 원 대의 적자를 이어갔고, 기금은 줄어 들었다.

자구 노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2000년 삼성 에버랜드측에 의뢰한 '과학공원 활성화 마스터 플랜'부터 2008년 행정안전부로부터 청산 명령을 받기 까지 무려 9번의 용역이 이뤄졌고 수 많은 계획이 검토되다 엎어지기를 반복했다. 이후 대전시가 '엑스포재창조'라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며 공모 기준을 제시했던 '민자사업 타당성 검토 용역', 미국 파라마운트 사의 복합영상테마파크 유치, 롯데 테마파크 조성 사업까지도 모두 무산됐다.

지난 2011년에는 대전마케팅공사가 설립, 운영에 들어갔지만 재창조라는 큰 틀의 마스터 플랜이 부재한 상태에서 공사 업무는 여전히 과학공원 관리 및 DCC 운영, 무역전시관 임대 사업, 엑스포남문광장 운영 등 부수적인 업무에 국한돼 있다. 정부로부터 받은 기금은 현재 모두 소진됐고 시로부터 지원금을 받아 운영을 이어가야 하는 처지다.

엑스포과학공원 관리 운영이 한계를 보인 데는 △콘텐츠 부족 및 시설 노후 △집객시설과 수익성 부족 △고비용 구조와 적자 누적 등을 꼽힌다. 여기에 엑스포과학공원 재창조 계획마다 꼬리표처럼 따라 다녔던 '박람회의 성공을 계승하고 국민 과학교육의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는 명분과 원칙, 수익성과 공익성을 모두 충족시켜야 한다는 과제도 부담감으로 작용했다.

◇향후 과제=지난달 3일 미래창조과학부와 대전시의 업무협약 체결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의 핵심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IBS)이 엑스포과학공원에 들어서게 되면서 엑스포재창조는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엑스포과학공원은 앞으로 4개의 거점구역인 첨단영상산업·전시컨벤션·엑스포기념·기초과학연구원 (IBS)구역으로 기능하게 된다. 이 중 1993 대전 엑스포를 기념할 공간은 전체 면적의 1/4도 되지 않는다. 이로인해 주목 받는 것은 기초과학연구원 입주와 함께 6만 6000㎡ 규모로 조성될 사이언스 센터다. 센터 조성 사업에는 지난달 시와 미래부가 업무협약에서 명시한 국비 확보액만 500억 원, 여기에 민간자본 2000억 원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니 그 속에 담길 내용이 주목되지 않을 수 없다.

시 관계자는 " 창조경제 전진기지의 중심부에 위치할 사이언스 센터에는 기술 거래소와 테크숍, 각종 오피스, 벤처 창업공간, 도서관 등과 함께 민간 자본이 매력을 느낄 만한 상업시설을 모두 담게 될 것" 이라고 말했다. 백운희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