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방안 연구용역' 2차 보고회. 사진.=충남도 제공

충청권 총선 정국에서 금융기관 이슈가 시들해지고 있다. 각 정당 지역 공약목록에도 잘 보이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지역구 총선 후보들도 관심을 끈 상태인 것처럼 비친다. 부산과 경남, 대구 등 영남권 분위기는 전혀 다르다. 총선 정국을 지렛대 삼아 IBK기업은행, KDB산업은행 등 국책은행을 둘러싼 유치전이 뜨거워지고 있는 것이다. 부산의 경우 산업은행 이전이 공식화된 단계임에도 고삐를 죄고 있다. 쐐기를 박겠다는 심산일 것이다.

사정이 딱하기로 치면 대전·충청은 영남권과 견주기가 민망한 현실이다. IMF외환위기 여파로 충청·충북은행이 퇴출되면서 지역금융 상태계가 무너지다 시피 했다. 그 자리를 시중은행이 대체해오고 있지만 그렇다고 지역 토착은행의 빈자리를 온전히 메우지는 못한다. 부산은행, 대구은행, 전북은행 등의 경우가 지방은행의 존재 이유를 잘 설명해준다. 부산에 부산은행이 없다면 금융 클러러스터 육성은 공허해진다. 거점 지방은행이 뿌리내려 있는 덕에 금융 콘텐츠를 강화할 수 있게 된 것이고 이는 대형 국책은행을 유치하는 마중물이었다 할 수 있다. 대구가 선제적으로 기업은행 유치에 손을 뻗치는 것도 마찬가지라고 보면 된다.

이에 비하면 대천·충청은 갈 길이 멀다. 이렇게 자의반 타의반 '금융 고립주의' 태도를 보인다면 충청 블록경제가 힘을 잃는 것은 자명하고 대외 확장성은 꿈도 꾸기 어렵다. 대구은행이 시중은행 인가 절차를 밟고 있고 전북은행은 대전·세종에 지점을 확충하며 지역 금융시장을 잠식중이다. 지역금융 역량이 커 지기는커녕 역주행하고 있다는 표현이 어울린다 할 것이다. 이런 현실 앞에 방관자연하고 있을 수는 없다. 어떤 식으로든 지역금융 인프라를 재건하는 심정으로 지역사회가 응집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문제도 총선 정국과 맞물려 이슈의 전면에 내세울 일이다. 지역 정치권도 집요하게 이 이슈를 소비해야 한다. 그래야 무슨 단초가 생길 것이다.

국책은행 유치 노력도 이 연장선에 놓인다고 본다. 국책은행과 지방은행의 결합은 지방시대를 맞아 필요충분조건화하고 있다. 한 기관을 놓고 경합하는 것도 좋지만 가능하면 선택지를 넓혀야 낭패를 보지 않는다. 서로 눈치 보기보다 이슈파이팅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