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군-부여군-홍성군 순… '고위기'도 337개
전문가, 사람중심 활력정책 등 대응전략 제시

마을소멸지수를 적용한 충남 농촌마을(행정리) 소멸 실태. 충남연구원 제공.
마을소멸지수를 적용한 충남 농촌마을(행정리) 소멸 실태. 충남연구원 제공.

충남지역 농촌마을 가운데 32%가 '소멸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는 대응을 위해 공간·기능적 재편과 사람중심 활력정책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충남연구원이 자체개발한 '마을소멸지수' 적용 결과를 보면, 도내 15개 시군 행정리(동지역 제외) 4394개 중 1408개(32.0%)가 소멸위기마을(고위기 337개(7.67%), 위기 1071개(24.37%))에 해당한다.

소멸진입단계까지 포함하면 두 배 가까이 늘어나는 62.1%에 달한다.

시군별로는 △서천군 63.5% △부여군 56.4% △홍성군 45.7% 순이다. 구체적으로는 고위기는 △서천군 24.1% △부여군 18.3% △홍성군 10.3% △보령시·예산군 9.8%, 위기는 △서천군 39.4% △부여군 38.1% △홍성군 35.4% △청양군 32.8% △서산시 32.2% 등이다.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은 계룡시 2.8%, 천안시 11.8%, 아산시 12.7%다.

'마을소멸지수'는 읍·면·동 중심인 지방소멸위험지수(65세 이상 고령인구 대비 20-39세 여성인구)를 농촌마을에 적용할 경우 거의 모든 마을(90.5%)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도출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행정리를 대상으로 개발했다.

20-44세 여성인구와 전입인구를 더한 뒤, 70세 이상 인구로 나눠 인구가중치 (마을 현 상태 진단지표)를 곱한 값이다. 단계는 고위기, 위기, 진입, 보통, 낮음, 매우 낮음 6단계다.

충남연구원은 자연적 인구증감과 함께 사회적 인구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윤정미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인구 감소, 저출생, 고령화 등으로 지방소멸위기가 현실로 닥쳐왔다"며 "충남 농촌마을 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의 핵심은 농촌의 공간·기능적 재편과 사람 중심 활력정책이다. 고령자 돌봄, 의료 사각지대 해소, 생활(관계)인구 확보, 도시와 농촌의 소통, 정주여건 개선, 일자리 창출 등에 기반해 단계별 마을소멸지수에 맞는 맞춤형 대응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