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이민청 유치 계획 회견. 사진=대전일보 DB

효율적인 이민정책 추진을 위한 출입국·이민관리청(이민청) 설치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전국 지자체들이 이민청 유치전에 뛰어들고 있다. 충청권 지자체들도 이 경쟁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충남이 지난해 말 천안·아산 입지를 전제로 이민청 유치를 공식화한 데 이어, 충북 역시 지난 11일 김영환 지사가회견을 통해 유치전 가세를 알렸다. 충청권만 놓고 보면 충남과 충북이 선의의 경쟁을 벌이야 하는 관계가 된 것이다.

이민청 설립은 충분히 매력적인 대형 호재다. 정부 청 단위 기관을 유치하면 그에 따라 직간접으로 유발되는 경제효과가 막대하다.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경제효과가 1조 원 안팎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 또 4000여 명의 고용창출도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민청 유치에 성공하기만 하면 이런 과실을 독식할 수 있게 된다. 지자체들이 눈독을 들일 수밖에 없는 사정이 있고 그래서 성공 가능성의 확률에 도전하는 것을 말리지 못한다.

그런 점에서 충남과 충북이 이민청 유치 도전장을 낸 것은 평가된다. 그렇지 않고 뒷짐만지고 있으면 감은 저절로 떨어지지 않는다. 특히 유치 대상이 이민청인데 도전도 안 해보면 기회를 그냥 날려버리는 것과 다를 것 없다. 이민청 입지와 관련해 충남과 충북은 타시도 여건에 비교하면 비교우위를 보이고 있어 계산이 선다 할 수 있다. 철도, 고속도로망은 말할 것 없고 전국 어디서 출발하든 접근성이 탁월하다. 업무 유관 부처가 있는 세종청사에 인접해 있는 것도 충남과 충북의 강점이다.

게다가 충남 입지와 충북 입지가 각각의 특장점을 두고 서로 충돌하지 않는 것도 특기된다. 어느 곳을 선정해도 부자연스러울 게 없다고 보는 이유다. 기왕 이민청 유치전에 나선 만큼 충남과 충북은 사력을 기울여야 한다. 평범한 방식과 전력으로는 유치성공률을 높이기 어렵다. 파격적이고 다른 데서 예측 못한 내용으로 초반부터 분위기를 압도해나갈 필요가 있다.

정부도 이민청 입지 문제만큼은 비수도권 선정을 원칙으로 삼아야 한다. 신설 정부조직마저 수도권에 두는 것은 지방시대 및 균형발전 정책에 역행한다. 이민청이 있어야 할 자리는 비수권에서 고르는 게 맞는다. 1차 공공기관 이전에서 제외된 지역에 가점을 부여한다면 더할 나위 없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