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15-39세 인구 순유입 증가 속 25-39세는 1374명 유출로 증가 전환
구인·구직 미스매칭 심화…2022년보다 구인은 줄고 구직자는 늘고
1인 가구 급증에 주택보급률 최하위…청년 정책 전환 등 대안 절실

 

대전일보DB

지속되는 청년 유출을 막기 위한 대전시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그동안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청년 정책의 실효성 등을 점검하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 '젊은 도시'로 거듭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15-24세 학생의 인구 유입이 증가하는 점 등을 감안, 이들의 정착을 위한 시의 차별화된 지원이 필요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5-39세 청년 인구의 대전지역 전입자 수는 1만 1026명, 전출자 수는 1만 473명으로 553명이 순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15-24세 인구 순유입은 1927명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반면 25-39세의 경우 1374명이 순유출됐다. 지난 2022년(- 590명) 대비 유출 증가로 돌아선 것이다.

25-39세 인구의 순유출은 2015년 6024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2020년 3324명, 2021년 2101명으로 감소세지만, 문제는 '지속적'이라는 데 방점이 찍힌다.

청년층의 유출은 일자리와 주택 보급 부족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지역의 15-29세 고용률은 44.4%로 전년(48%) 대비해 3.6%포인트 떨어졌으며, 전국 평균(46.5%)보다 낮았다. 실업률은 2022년 4.4%에서 지난해 6%로 뛰어올랐다.

이같은 현상은 구인과 구직간 미스매칭 심화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22년 지역의 신규 구직 건수는 12만 8399건, 신규 구인 인원은 5만 58명이었다. 이듬해엔 신규 구직 건수는 13만 1706건, 신규 구인 인원은 4만 291명이다. 취업문이 더 좁아진 셈이다.

낮은 주택보급률도 청년이 지역을 떠나는 데 한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22년 대전의 주택보급률은 97.2%로, 서울(93.7%)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낮았다. 비수도권 광역시 중에선 유일하게 100% 미만인 지역이다.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가구 수 증가를 주택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다.

이처럼 청년들의 유출이 지속되면서 시의 청년 정책 효과에 의문이 제기된다.

민선 7기 당시 시는 청년 정책 관련 예산으로 연평균 609억 원 가량을 편성했다. 민선 8기에선 청년 정책 예산을 확대, 올 1961억 원을 투입한다.

이러한 대규모 예산 투입에도 불구, 청년이 지역에 머물지 않은 채 떠나면서 이들을 붙잡을 만한 새로운 대안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권선필 목원대 행정학과 교수는 "그동안 시의 청년 정책은 근원적 처방이 아닌, 과거부터 진행해 왔던 사업이 대부분"이라며 "정책적 전환이 절실하다. 1차적으론 유입된 15-24세 청년들에게 지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2차적으론 지역에 몇 년 이상 정착한 청년들을 위한 현금 지원 등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전시 관계자는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등 각종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많은 기업·정책을 유치하고 있다"며 "광역 단위에서 청년 유입 인구가 그나마 높은 곳이 대전"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