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관위 통합관제실 . 사진=연합뉴스
전국 민심의 바로미터로 불리는 충청권 28개 선거구에 대한 여야의 공천이 사실상 마무리됐다. 충청권은 수도권과 함께 전국 판세를 좌우할 수 있는 '스윙보터' 지역으로 그 어느 곳 보다 중도층과 부등층이 많은 곳이다. 최근의 8회 동시지방선거, 20대 대선, 21대 총선도 충청권의 승자가 최종 승자라는 등식이 성립됐다. 특정 정당에 표를 몰아주지 않지만 민심의 흐름을 가장 잘 반영하는 곳이 바로 충청권이다.

충청권은 21대 총선에서는 민주당이 20석을 석권해 8석에 그친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을 크게 눌렀다. 다만 양당의 득표율은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는 사실이 특기할 만하다. 28개 선거구 중 11곳이 5%p 이내 접전이었고 대전 중구, 천안시 갑, 아산시 갑, 공주·부여·청양, 보령·서천, 증평·진천·음성은 3%p 이내 초박빙 양상을 보였다. 쉽게 말해 중도층 유권자의 2.5%만 돌아서도 판세가 확 바뀌는 곳이 충청권이다. 수도권이 접전 지역이라고 하지만 121개 선거구 중 5%p 이내 승부처가 19곳에 불과했다는 사실과 대비된다.

22대 총선에서는 대전 1곳, 충남 6곳, 충북 3곳 등 충청권 10개 선거구에서 리턴매치가 이뤄진다는 사실도 주목할 만하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대결구도를 보면 대전 서구을에서 박범계 의원과 양홍규 변호사, 천안갑에서 문진석 의원과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이 각각 재대결을 하고, 공주·부여·청양에서 박수현 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과 정진석 의원, 서산·태안에서는 조한기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과 성일종 의원이 3연속 대결을 펼친다.

충청권은 여야의 지지세가 팽팽한 만큼 바람이나 구도보다는 후보 경쟁력이 승패를 가를 수도 있다. 진영대결에 매몰되지 않고 지역 발전을 위한 공약과 정책을 선보일 때 더 소구력이 있을 수 있다는 얘기다. 충청권은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경부·호남선 철도 지하화,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등 묵은 현안들이 산재해 있다.

여야 지도부는 충청권 지자체와 시민단체들이 제시한 현안을 총선 공약화하고 각각의 사업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 여야 모두 충청권에서 승리하지 못하면 1당이 될 수 없다는 사실을 상기하기 바란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