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우석 세종취재본부 차장
곽우석 세종취재본부 차장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용산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기존 '청와대'는 대한민국의 상징이었다.

광복 이후 이승만 정부에서 문재인 정부에 이르기까지 청와대는 대통령이 공무를 수행하는 대통령궁(大統領宮)이자, 행정기구 대통령부(大統領府)로서 국가의 중심을 관통해 왔다.

윤석열 대통령은 20대 대통령 당선 이후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실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겠다고 발표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퇴임 전날인 2022년 5월 9일 청와대를 떠난 뒤, 이곳은 5월 10일 0시를 기해 미술관이자 박물관 같은 존재로 전 국민에게 개방됐다.

이후 '대통령 제2(세종)집무실'은 용산 대통령실과 함께 기존 청와대를 대체할 국가 상징 공간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세종집무실은 대통령직 인수위의 '행정수도 세종 완성' 국정과제로 채택됐고, 행복도시법 개정안 국회 통과와 함께 본궤도에 올랐다. 국회세종의사당과 함께 이른바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을 선도할 핵심시설로 전 국민적 관심을 받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후의 추진 과정을 보면 모호한 점들이 많다. 정부는 세종집무실을 설치하기 위한 건립방안 기획 연구용역을 실시했으나, 지난해 5월 용역을 돌연 중단시켰다. 또 용역 중단 반년을 넘어선 지난달 26일에서야 재개된 용역은 하루만인 27일 부랴부랴 마무리됐다. '관계기관 간 협의'로 중단했다는 게 대통령실 설명이지만, 중단 이유가 의아스럽긴 전과 동일하다.

집무실을 어떻게 짓겠다는 원칙도 없어 보인다. 용역 중간중간 관계자를 통해 흘러나온 얘기를 종합하면, 사업규모는 '4500억원'에서 '3800억원', 다시 '3000억원' 안팎까지 줄었다. 첫 구상 당시보다 3분의 1이나 쪼그라든 셈이다.

당초 기존 청와대와 비슷한 규모로 사업비를 산출했으나, 기존보다 실용성에 중점을 두면서 사업비가 감소했다는 게 정부 측 얘기다. 집무실 크기는 작아졌으나 대국민 소통시설은 더 넓게, 비서실·경호실 업무공간은 일부만 설치하는 방안을 담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국가 운영의 중추로서 하려면 제대로 하라는 게 국민 여론이다. 현직만이 아닌 후대에까지 역사에 길이 남을 행정수도 세종, 대한민국 상징으로 자리매김 해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국민들은 의아스럽다는 반응이다. 정부가 행정수도 완성 의지를 갖고 있는지 말이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