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근 선임기자
김재근 선임기자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작업)은 그리 오래된 제도가 아니다. 이 용어는 1980년대초 미국의 세계적 전자기업인 제너럴일렉트릭(GE)의 회생을 이끈 잭 웰치 회장이 처음 사용했다. 그는 위기에 처한 회사를 살리기 위해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경쟁력이 없는 사업을 매각하거나 없앴고, 34만명이던 직원을 10년만에 22만명으로 줄였다. 선택과 집중 덕분에 GE는 세계 10위 회사에서 5위로 도약했다.

우리나라는 1997년말 국제통화기금(IMF) 금융위기 때 본격 도입됐다. 유동성 위기에 닥친 기업들의 도산을 막기 위해 부채 상환을 미뤄주거나 줄여주고, 신규 자금도 지원했다. 이 제도를 뒷받침하기 위해 2001년에는 '기업구조조정 촉진법(기촉법)'을 제정했다.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이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태영은 지난해말 워크아웃을 신청했고, 지난 3일 채권자설명회를 열었다. 여기서 그룹측은 계열사 매각대금 태영건설 지원 등을 약속했다. 우여곡절 끝에 9일 지주회사인 티와이홀딩스와 주요 계열사인 SBS 주식을 담보로 제공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태영건설의 운명은 내일 열리는 채권자협의회에서 결정된다. 75% 이상이 동의하면 워크아웃이 시작되고 그렇지 않으면 법정관리를 밟게 된다.

그동안 많은 기업들이 워크아웃을 거쳐갔다. IMF 때는 진도·신원·갑을·쌍용·한보·대우·아남 등이 워크아웃을 겪었다.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는 100대 건설사 중 무려 45개사가 워크아웃, 법정관리 또는 부도·폐업의 아픔을 겪었다. 현대건설이나 대우건설, 하이닉스처럼 워크아웃 덕분에 살아난 기업도 있지만 사라진 곳도 많다.

정부는 건설업계 PF 시장 경색 등을 대비해 85조원의 자금을 준비해두고 있다. 건설업계의 어려움이 금융권까지 파급될까 우려하기 때문이다.

국민들이 태영건설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부가 건설업계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는지 지켜보고 있는 것이다. 살릴 기업은 살리고 부실·좀비기업은 과감하게 퇴출시키는, 엄중하고 냉정한 자세가 필요하다. 그래야 그 많은 자금을 투입하는데 대한 국민적 이해와 동의, 공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