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열 산림청 도시숲경관과 과장
김주열 산림청 도시숲경관과 과장

여름의 끝자락인 듯 하지만 전국의 주요 도시는 여전히 찜통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여름 한 낮의 도시 한복판은 자동차가 뿜어내는 열기, 콘크리트 건물이 가로막고 있는 바람, 아스팔트의 복사열로 답답하지만 녹음 아래는 그나마 숨 쉴만 하다.

내 아파트 주변, 사무실 앞, 우리 아이의 등하굣길에서 만날 수 있는 것은 녹색의 즐거움인 도시숲이다. 도시숲은 시원한 바람과 그늘, 초록의 싱싱함이 조화로움으로 잠깐의 여유를 찾고 싶은 우리 곁에 좀 더 다가와 있지만 생활권 내 도시숲은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또 도심화가 심한 서울과 경기 지역의 1인당 생활권 도시숲 면적도 전국 평균보다 낮다.

도시민에게 접근이 용이한 1인당 생활권 도시숲 면적을 WHO(세계 보건 기구)에서는 '1인당 생활권 녹지면적'으로 산정해 9㎡로 제시하고 있으며, 국제 표준은 15㎡이다. 우리나라의 1인당 생활권 도시숲 면적은 2019년 말 기준 11.51㎡로 최소 면적에 근접했으나, 외국의 주요 도시들과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다.

2013년 말 기준 뉴욕은 23㎡, 런던 27㎡, 상해 18.1㎡, 파리 13㎡로 나타났으며, 2017년부터 목적형 도시숲(미세먼지 차단숲·도시바람길숲 등) 사업에 대한 지원이 확대된 것을 감안한다고 해도 서울 6.9, 경기 8.4, 인천 9.9는 전남 22.0, 강원 21.0, 전북 19.9와 같이 지역 간 큰 편차를 보인다.

도시숲 확대에 가장 큰 어려움은 부지 확보, 사업비 부족이다. 그래서 도심지의 유휴 토지, 자투리땅을 녹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폐철도, 군부대 이전지 등을 도시숲으로 조성해 생활권 도시숲으로 조성하고 자투리땅은 숲이나 정원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부족한 조성·관리비용을 지역의 기업과 단체, 시민이 참여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시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도시녹화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도시숲 지원센터를 통해 기부와 참여를 문의하는 기업체도 늘어나고 있다.

산림청은 2027년까지 1인당 생활권 도시숲을 1인당 15㎡까지 높이는 것을 목표로 미세먼지 차단 숲, 도시바람길 숲, 자녀안심 그린 숲 등 기능별 도시숲을 확대해 나가기 위해 노력 중이다. 도시숲 확대에 보다 많은 지역의 기업, 단체, 시민들이 참여한다면 생활권 내 도시숲은 우리 일상으로 성큼 다가올 것이다.

김주열 산림청 도시숲경관과 과장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