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다른 시·도처럼 대전에도 혁신도시를 둘 수 있도록 하는 법적 토대가 1년여에 걸친 각고의 노력 끝에 만들어지면서 이제 관심은 혁신도시 입지로 모아지고 있다. 국가균형발전특별법(균특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까지 대전시는 신도시를 개발하는 방식의 기존 혁신도시와 선을 그으며 도시 재생을 전면에 내걸었고 `대전역세권 포함 원도심`을 혁신지구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수차례 밝힌 바 있다.

이를 두고 세간에서는 대전역세권과 원도심이라는 제한조건의 지리적 범위 해석이 분분하고 때 이른 경쟁과 기대 심리도 모락모락 피어나고 있다. 장기 경기 침체와 코로나19 확산 국면인데다 지역경제에 이렇다 할 호재가 없다는 점에서 혁신도시 입지 선정 문제가 자칫 지역간 과열 경쟁을 부추기는 불쏘시개가 되지 않도록 조기 차단하는 결단의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10일 정례 브리핑에서 혁신도시 위치 선정의 원칙과 기준이 있느냐는 질문에 "과거 혁신도시는 새로운 도시를 개발하는 방식이었지만 우리시는 원도심 재생을 통한 지역 활성화 비전을 제시해 균특법 개정안 통과라는 성과를 이뤄낸 것"이라며 "대전역세권을 중심으로 한 원도심 재생에 충실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5월 중 국토연구원이 혁신도시 성과평가 및 정책지원 용역 결과를 발표하면 추가로 이전할 수도권 공공기관과 방향이 나오고 현 정부에서 `혁신도시 시즌 2`를 진행할 것인지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며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하는 과학 분야, 철도·교통 관련 기관, 지역 인재를 많이 채용할 규모 있는 기관을 유치하도록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부연했다.

혁신도시는 시·도지사가 국토교통부에 지정 신청하고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심의·의결 뒤 국토부장관이 지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국토부가 혁신도시 입지 결정을 위한 입지선정 지침을 마련할 것으로 시는 예상하고 있다. 정부는 2005년 혁신도시를 처음 조성할 당시에도 혁신도시 입지 선정의 원칙과 기준, 절차 등을 담은 입지선정 지침을 만들었고 혁신거점으로서 발전 가능성, 도시개발의 적정성, 지역내 동반성장 가능성을 종합 평가했었다.

또 12개 지자체 시·도지사와 협약을 체결하고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을 수립, 10개 혁신도시를 지정해 153개 공공기관 이전을 추진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혁신도시 조성사례로 미뤄 정부가 입지선정 지침을 마련하고 시·도지사 추천과 이전대상 공공기관 추천 인사들이 참여하는 입지선정위원회가 꾸려지는 등 지난한 과정을 거쳐 혁신도시 입지가 결정됐었다"며 "이마저 과거에 그랬다는 것일 뿐 현 시점에선 대전의 혁신도시가 어떤 방식으로 결정되리라 예단할 수 없다"고 말을 아꼈다.

그러면서도 "우리시의 대원칙은 대전역세권을 포함한 원도심이 혁신도시 입지가 돼야 한다는 것"이라며 "내부적으로 대전의 동쪽 즉, 동구와 중구, 대덕구가 원도심이고 서구와 유성구 같은 서쪽은 신도심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월 국토부가 발표한 1기 혁신도시 성과 자료(2019년 말 기준)를 보면 부산·대구·광주전남·울산·강원·충북·전북·경북·경남·제주 10개 혁신도시에 112개 공공기관이 옮겨갔고 신규채용 인원 5886명 중 1527명(25.9%)을 이전지역 출신 학생들로 채웠다. 이들 공공기관들이 납부하는 지방세수도 4228억 원에 달한다. 전체 입주기업 수는 1425개로 2018년 대비 2배 넘게 증가했다. 정주인구는 1만 2177명 늘어난 20만 4716명을 기록했다. 문승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