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연구진 "면역염증 반응 억제 효과"

국내 연구진이 패혈증을 치료할 수 있는 몸 속 단백질을 최초로 발견했다. 미래창조과학부(미래부)는 5일 연세대 윤주헌·유지환 교수 연구팀이 몸의 대사를 조절하는 단백질 중 하나인 세스트린2 라는 물질이 면역 질환인 패혈증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현재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는 패혈증 등 면역 염증 질환 치료의 단서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패혈증은 미생물에 감염돼 미생물이나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독소가 혈관에 들어가 전신에 심각한 염증 반응을 일으켜 장기가 손상되고 심하면 사망에 이르는 면역질환이다.

연구팀은 병원체가 침입하면 세포 내 에너지를 만드는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되는 데 자가포식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으면 손상된 미토콘드리아가 많아지고 면역 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대사 질환, 퇴행성 신경 질환 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사 조절 단백질인 세스트린2가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자가포식을 통해 제거해 면역 염증 반응을 억제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세스트린2가 면역 염증 질환뿐만 아니라 다른 각종 질병의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윤주헌 교수는 "이 연구는 면역 반응의 대사 주요 단백질로 알려진 물질이 패혈증에서 면역 염증 반응을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항생제 투여만으로 치료가 어려웠던 패혈증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패혈증, 노인성 질환 등 질병 치료법을 개발하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 교육부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학술지 '오토파지(Autophagy)' 6월 23일자에 게재됐다. 김정원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정원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