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세대가 우리 사회의 전면으로 부상 중이다. 한국전쟁 이후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가 메아리(echo)처럼 다시 출생 붐을 일으켜 대량출산 이후 태어난 2세대들을 말한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하고 있는 에코세대의 이면은 그리 밝은 편이 아니다. 청년 고용 대란의 폭풍을 온몸으로 체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애와 결혼 포기, 출산 포기 등에 이어 집사는 것도 포기하고, 나아가 인간관계도 끊는다는 소위 오포세대로도 묘사되는데 이는 사회 문제로 번질 우려가 있다.

최근 주택산업연구원이 소개한 미래 주거 트렌드에서도 에코세대를 언급했다. 베이비붐 세대가 떠난 자리를 에코세대가 채울 것이라는 게 골자다. 수요자의 세대교체를 의미한다.

주택과 주거문화와 관련해서는 에코세대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주산연의 설문조사에서도 나타났지만, 현재 20~30대 에코세대들은 60-80㎡의 주택평형을 선호한다. 게다가 가변형 주택, 공간창출형 주택, 에너지절감형 주택 등을 선보여 호평을 받기도 했다. 그럼에도 에코세대의 주택에 대해서는 몇 가지 숙제가 있다. 특히 대형평형에서 소형평형으로 선호도가 이전하는 데 따른 시차의 극복이다. 과거 주택경기 호황기에 분양한 아파트는 대형평형이 많았다. 베이비붐 세대들이 대부분 이러한 주택을 소유하고 있다. 이들이 떠난 대형평형 아파트에 에코세대가 살기란 쉽지 않다. 필요 이상으로 크고 관리비 부담이나 가격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에코세대가 선호하는 소형평형으로 줄이려면 기존 아파트를 재건축해야 한다. 정부가 재건축 연한을 줄였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분명히 시차가 존재한다. 신규 주택지 개발이 방법일 수 있겠지만, 아직 공급 규모가 크지 않은 데다 선호 지역과도 거리가 멀다.

전·월세 혹은 임대주택에 기댈 수밖에 없는 구조에서 전셋값이 치솟고 물량마저 없다. 취업난과 결혼에 이어 주거부담이 지속적으로 그들을 짓누르고 있지만, 행복주택이나 공공임대주택 정책 정도가 고작이다.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늘린다고 해도 수요와 공급시기가 늘 부조화다. 공급이 제때 이뤄지더라도 물량이 한정적이다. 수혜 계층 비율이 낮다는 것이다. 에코세대의 주거안정과 주거복지를 위해 재건축사업을 포함한 새로운 주택공급, 주거복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제 베이비부머세대와 에코세대가 자연스럽게 공유하면서 세대 교차를 위한 주거문화 트랜드로 정책방향을 맞춰 나가야 한다. 대학생, 취업 준비생, 신혼부부, 노년층 등 생애주기별 수요에 맞는 특화형 임대주택 공급이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 전략 산업, 신산업 등 연계하여 청년 창업인을 위한 창업지원 주택도 확대되어야 한다.

주거로 인한 에코세대들에 부담을 해소할 수 있는 뉴스테이 사업 등 시범사업을 확대하면서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한 단기 실효성 보다는 장기적 주택시장 변화에 대응하는 정책이 뿌리를 내리도록 주택정책의 지속성이 요구된다,

김만구 (사)미래건설연구원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대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