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연 현상이나 사회 현상에 인과 관계가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인과적 사고는 이와 같이 어떤 일이 발생하면 거기에는 원인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원인을 찾아내는 방법을 밝혀내고자 한 사람으로 19세기 중엽 영국의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이 있다. 그는 원인을 찾아내는 몇 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일치법과 차이법이다.

㉠일치법은 어떤 결과가 발생한 여러 경우들에 공통적으로 선행하는 요소를 찾아 그것을 원인으로 간주하는 방법이다.

[A]

가령 수학여행을 갔던 **고등학교의 학생 다섯 명이 장염을 호소하였다고 하자. 보건 선생님이 이 학생들을 불러서 먹은 음식이 무엇인지 조사해 보았다. 다섯 명의 학생들이 제출한 자료를 본 선생님은 이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먹은 유일한 음식이 돼지고기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때 선생님이 돼지고기가 장염의 원인이라고 결론을 내리는 것이 바로 일치법을 적용한 예이다.

a b c d → X

a c e f → X

a d e f → X

∴a → X

일치법은 왼쪽과 같은 도식으로 정리할 수 있다. X는 원인을 알고 싶은 결과이고, a, b, c, d, e, f는 여러 가지 선행하는 요소를 뜻한다. a는 X가 일어하는 모든 경우에 공통되는 유일한 요소이므로 a가 X의 원인이라고 결론을 내린다.

㉡차이법은 결과가 나타난 사례와 나타나지 않은 사례를 비교하여 선행하는 요소들 사이의 유일한 차이를 찾아 그것을 원인으로 추론하는 방법이다. 인도네시아의 연구소에 근무하던 에이크만은 사람의 각기병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닭의 질병을 연구하고 있었다. 어느 날 그는 병에 걸린 닭들 중에서 병이 호전된 한 마리의 닭을 발견하고는 호전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병이 호전된 닭과 호전되지 않은 닭들의 모이에서 나머지는 모두 같았으나 유일한 차이가 현미에 있음을 알게 되었다. 즉 병이 호전되지 않은 닭들은 채소, 고기, 백미를 먹었으나 병이 호전된 닭은 추가로 현미를 먹었던 것이다. 이렇게 모이의 차이를 통해 닭의 병이 호전된 원인을 현미에서 찾은 에이크만의 사례는 바로 차이법을 적용한 예이다.

일치법과 차이법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원인 식별 방법이지만 이 방법을 사용하여 정확한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점에 주의해야 한다. 즉 ㉢선행하는 요소들을 충분히 검토하였는지, 밝혀진 요소 이외에 드러나지 않은 다른 요소는 없는지, 누락된 요소 또는 인식하지 못해 누락시킨 요소는 없는지를 세심하게 검토해야 한다. 아울러 우연히 선후관계로 일어난 현상을 인과관계로 오해하거나, 하나의 원인이 야기한 두 가지 현상을 각각 원인과 결과로 오판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1. ㉠에 따라 원인을 찾아낸 사례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아침에 두꺼비가 우는 소리를 들었는데 그때 장대비가 내렸다. 따라서 두꺼비의 울음이 장대비의 원인이다.

② 아이의 온몸에 붉은 반점이 생겼는데, 반점이 생기기전에는 열이 있었다. 따라서 열이 붉은 반점의 원인이다.

③ 밤에 잠을 잘 이루지 못한 직장인이 그 원인을 따져보니 평소와 달리 그날 저녁에만 커피를 마신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커피가 불면의 원인이다.

④ 신장 결석에 걸린 20명의 아기들이 먹은 음식물을 모두 조사해 보았더니 유일한 공통요소는 A사의 분유였다. 따라서 A사의 분유가 신장 결석의 원인이다.

⑤ 최근 우리나라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 시간은 평균 30분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었고, 같은 기간에 학력은 평균 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컴퓨터 게임 시간이 증가한 것이 학력하락의 원인이다.

[문제읽기를 통해] 구체적 사례에 적용 시키는 문제이다. 각각의 사례를 빠르게 훑어 본 후 넘어간다.

[지문읽기와 문제풀이를 통해] 정답이 ④번임을 알 수 있다. 〔A〕와 ④번의 구절들을 일대일 대응해 보면 금방 이해할 수 있다. 먼저〔A〕의 ‘장염’과 ④번의 ‘신장결석’을 연결하고〔A〕의 ‘음식이 무엇인지 조사’와 ④번의 ‘먹은 음식물을 조사’를 연결해 본다. 그리고〔A〕의 ‘공통적 음식이 돼지고기’와 ④번의 ‘공통 요소가 A사의 분유’를 연결하고, 〔A〕의 ‘돼지고기가 장염의 원인’과 ④번의 ‘A사의 분유가 신장결석의 원인’을 연결해 보면 정확하게 일대일 대응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을 도식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때 `-X`는 `X`라는 결과가 일어나지 않았음을 의미함.)

a

b

c

d

X

b

c

d

-X

a

X

a

b

c

d

X

b

e

f

-X

a

X

a

b

c

d

X

a

c

d

X

a

d

e

X

a

X

a

b

c

d

X

b

e

f

X

c

d

e

-X

a

X

a

b

c

d

X

a

b

d

-X

b

d

f

X

a

X

[문제읽기를 통해] 도식화 문제이다. 특히 이런 문제를 ( )안의 조건을 잘 살려야 하는데 꼭 읽어보고 지문 읽기에 들어가야 한다.

[지문읽기와 문제풀이를 통해] 정답은 ①번이다. ①번을 보면 `a b c d → X`라고 한 것은 ‘ 각 요소가 X라는 결과를 이끌어 냈음’을 뜻하고, ‘b c d → -X`라고 한 것은 `a`를 뺀 나머지 ’ b c d ‘ 는 결과를 이끌어 내지 않은 요소가 된다. 지문을 보면 4문단에서 ‘병이 호전되지 않은 닭들(=-X)은 채소(=b), 고기(=c), 백미(=d)를 먹었으나, 병이 호전된 닭들(=X)는 추가로 현미(=a)를 먹었다’라고 나온다. 그러므로 호전된 결과(=X)를 가지고 온 원인은 ‘현미(=a)’라는 도식이 나온 ①번이 정답이 된다.

3. ㉢에 유의하며 [A]의 판단을 검토할 때, 고려할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학생들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아서 장염이 발생하지는 않았는가.

② 학생들이 함께 먹은 음식 가운데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무엇인가.

③ 학생들이 함께 먹은 음식 가운데 잊어버리고 기록하지 않은 음식이 있지는 않은가.

④ 학생들이 먹은 돼지고기 자체가 원인이 아니라, 돼지고기를 담은 그릇에 문제가 있지는 않은가.

⑤ 다른 음식을 먹고 장염에 걸렸지만 그 사실을 선생님께 말씀드리지 않은 학생들이 있지 는 않은가.

[문제읽기를 통해] ㉢에 유의하라는 발문을 유념해야 한다. ㉢을 보면 세 가지의 주의점이 나오는데 첫째, 선행요소를 검토했는지. 둘째, 드러나지 않은 다른 요소가 없는지. 셋째, 누락된 요소는 없는지를 살펴야 한다.

[지문읽기와 문제풀이를 통해] 정답은 ②번이다.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다른 선택지들을 세 가지 조건과 일대일 대응하면 더욱 명확해진다. 먼저, ①번은 ‘학생들의 건강상태’를 이야기하므로 첫째 조건(=선행요소)과 관련이 있고, ③번은 ‘잊어버리고’라고 했으므로 셋째 조건(=누락)과 관련이 있다. ④번은 ‘돼지고기를 담은 그릇’이라고 했으므로 둘째조건(=드러나지 않은 다른 요소)과 관련이 있고, 마지막 ⑤번은 ‘말씀드리지 않은’이라고 했으므로 셋째조건(=누락)과 관련이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은선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