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고동연 연구팀, 신개념 고체탄산화기술 개발
고체 탄산염 활용해 2030년까지 1조 달러 수익 전망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광물 탄산화 공정 모식도. 사진=KAIST 제공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광물 탄산화 공정 모식도. 사진=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자연 현상을 모방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한편, 산업 부산물을 유용한 자원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23일 KAIST에 따르면 생명화학공학과 고동연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내용의 신개념 고체 탄산화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시스템은 중공사막(가운데가 비어있는 형태의 막) 형태의 초투과성 분리막을 이용해 연속적으로 이산화탄소 포집과 전환이 가능한 게 특징이다. 또한 이산화탄소와 알칼리 금속의 자발적 결정화 반응을 이용하는 일종의 자연 모방 기술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가장 안정된 탄소 저장체로서 건설·토목 소재로 쓰이는 고체 탄산염으로 전환할 수 있다.

그 결과 철강이나 시멘트 등 에너지 집약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연간 약 30억-60억t 줄일 수 있는 데다, 전환된 고체 탄산염 활용에 따른 예상 수익은 오는 2030년까지 약 1조 달러로 전망된다.

또한 이 기술은 부피 대비 표면적인 기존보다 수 배 이상 높아, 매우 높은 공간 효율성을 지닌 분리막 모듈의 특성을 이용해 장시간의 연속 공정이 가능하단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이산화탄소 전환 공정의 에너지·비용 대비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고체 탄산염을 활용하는데 높은 경제성을 지녔고, 기술 활성화에도 기대가 모아진다.

고동연 교수는 "이번 기술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발전소나 제철소, 시멘트 제조업체 등 관련 산업계의 탄소배출권 구매량을 줄일 수 있고, 동시에 자원 재순환을 통해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장진웅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진웅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