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지역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감소하며 도소매·음식점·헬스케어 등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대거 사라지는 등 고용충격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개발연구원(KDI) 이종관 연구위원이 작성한 `코로나19 고용 충격의 양상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감염증 여파로 사라진 일자리 수가 지난 4월과 9월에 각각 108만 개, 83만 개로 추산된다. 4월은 코로나 첫 확산, 9월은 코로나 재확산 시기다. 이는 코로나19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예상되는 취업자 수 추이와 감염증 확산 이후 취업자 수 추이를 비교한 수치다.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인해 사라진 일자리의 대부분은 지역서비스 일자리이지만,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교역산업에도 고용 충격이 점차 발생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교역산업은 (첨단)제조업, 과학·기술 서비스업 등 교역이 가능한 상품을 생산하는 산업이고 지역서비스업은 도·소매업, 숙박과 음식점업 등 지역에서 주로 소비되는 산업이다.

이 연구위원은 제조업에서 지난 2월부터 9월까지 16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며, 이 충격이 파급되면 향후 10년에 걸쳐 같은 수치의 서비스업 일자리가 해당 지역에서 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제조업 일자리 1개가 소멸할 경우 지역서비스업 일자리 1개가 사라지고 지식산업 일자리 1개가 소멸할 경우 지역서비스업 일자리 3.2개가 사라지는 것을 고려하면, 교역산업의 충격은 경제 전반의 중장기적 일자리 창출 여력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단기적으로는 고용유지의 우선순위를 교역산업 일자리에 두는 동시에 지역서비스업은 취약계층 보호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교역산업이 중장기적인 일자리 창출의 주요 동력이라는 점에서 일자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해 고용충격이 장기화되지 않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고, 지역서비스업에 대해서는 자영업자·임시일용직 등 취약계층에 재정을 지원해 소득 감소를 보조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또 중장기적으로 교역산업에서는 신규 기업의 활발한 진입을 통해 경제 전반의 일자리 창출 여력을 확보해야 하고 지역서비스업은 구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교역산업에서는 시장수요에 따른 활발한 진입과 퇴출을 통해 새로운 유망 산업으로 산업구조가 개편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 구축에 힘써야 하며, 지역서비스업의 경우 코로나19 장기화 가능성에 대비해 비대면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동시에 지역 간 노동수요에 따라 노동자들이 신속하게 재배치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천재상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천재상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