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 당국 "확진자 추이 분석...지역실정에 맞는 조치 필요"

코로나19 대응이 중앙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별 상황에 맞는 `맞춤형 대응`으로 급선회할 전망이다.

이는 최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중 `깜깜이 확진자` 발생비율이 7.4%에 달하는 등 기준치 5% 이하를 넘어선데다 지역별 흐름도 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역학조사를 통해 모든 확진자의 원인이 어디에서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가장 좋지만, 코로나19의 특성상 상당히 어렵다"며 "방역망 내에서 가급적 통제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보완과 검사 등을 통해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실제 수도권은 물론, 대전과 대구, 부산 등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한 확진자는 무증상이거나 감염 경로가 파악되지 않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방역당국은 이 같은 사각지대를 차단하기 위해 고위험 시설인 요양병원이나 요양원, 장애인 시설 등에 대한 입원환자 전수검사 조치를 내렸다.

집단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업장이나 시설에 대해 풀링검사를 벌이는 한편, 무증상 감염이 많은 20대의 특성을 고려해 군대에 입소하는 신병에 대한 집단 검사를 진행 중이다.

역학조사를 총괄하고 있는 질병관리본부도 비슷한 차원에서 지역별, 상황별 대처가 차별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인지했다

질병관리본부를 중심으로 진행 중인 혈청검사 또한 인구집단에서 코로나19에 대한 항체가 어느 정도 형성이 돼 있는지 등을 총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조치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중앙차원의 대책보다는 지역별로 세분화된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본부장은 이날 오후 "방역당국이 판단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지역감염의 위험이 상당히 높다고 보고 있는 상황"이라며 "예전처럼 전국 단위의 일관된 그런 조치를 하나를 하는 게 아니라 시·도별 그리고 시설별 위험도에 따라서 조치의 수위를 달리 적용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사회적 거리두기` 또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에 준한 조치`들이 이 같은 흐름을 취합한 후 내린 조치라는 것이다.

보건당국의 이 같은 판단에 따라 각 지자체의 후속 조치 또한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에서는 유흥시설이나 노래방 등에 대해서는 집합금지명령을 내렸고, 고위험 시설에 대해서는 집합제한을 하는 행정조치들을 내렸다.

전체적으로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 기본 방역수칙을 준수하면서 지역별 확진자 추이와 동선에 따라 위험 정도를 분류하고, 그에 따른 영업제한 및 집합명령 발동 등을 지자체별 판단에 따라 조치하도록 권한을 위임한 것으로 풀이된다. 장중식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중식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