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성상(성질·상태)에 따라 생산용 표적이 다르다.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정훈·허민구 박사팀은 밀봉·원형·도금표적을 개발, 이를 이용해 저마늄-68과 스칸듐-44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원형표적의 모습. 사진=원자력연 제공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성상(성질·상태)에 따라 생산용 표적이 다르다.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정훈·허민구 박사팀은 밀봉·원형·도금표적을 개발, 이를 이용해 저마늄-68과 스칸듐-44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원형표적의 모습. 사진=원자력연 제공
국내연구진이 전량 해외 수입에 의존하던 의료·산업용 방사성동위원소 2종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첨단방사선연구소 박정훈·허민구 박사 연구팀이 국내 최초로 방사성동위원소 저마늄-68(Ge-68)과 스칸듐-44(Sc-44)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표적을 개발하고, 각각 생성된 방사성동위원소를 분리 및 정제하는 `특수 레진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법`을 통해 저마늄-68과 스칸듐-44 생산시스템을 구축했다.

저마늄-68은 암진단용 방사성동위원소 발생장치 핵심원료이며, 방사선영상장비의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한 교정선원으로 사용된다. 또 저마늄-68은 반감기가 270여 일로 길기 때문에 수출도 가능하다.

원자력연 관계자는 "그동안 고가로 수입해왔으며, 대량으로 생산할 경우 수십억 원의 수입대체효과를 기대한다"설명했다.

스칸듐-44는 차세대 암 진단용 방사성동위원소로 반감기가 짧아 수입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미국·유럽 등 생산기술을 보유한 국가 내에서만 사용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도 스칸듐-44을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연구팀은 1회 생산으로 수십 밀리퀴리(mCi)를 얻을 수 있는 생산기술을 확보했다. 이는 한 번의 공정으로 5개의 연구기관에 공급 가능한 수준이다. 이미 서울대병원·전남대병원·국립암센터·경북대 등 산·학·연 연구기관에서 방사성동위원서 2종에 대한 수급의사를 밝혔으며, 내년 상반기부터 국내 수요기관을 대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대량 양산 시설을 구축하는 방안을 찾을 계획이다.

위명환 첨단방사선연구소장은 "향후 수백 mCi 생산수준으로 생산능력을 강화해 의료산업용 방사성동위원소 수출까지도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주재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성상(성질·상태)에 따라 생산용 표적이 다르다.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정훈·허민구 박사팀은 밀봉·원형·도금표적을 개발, 이를 이용해 저마늄-68과 스칸듐-44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밀봉표적의 모습. 사진=원자력연 제공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성상(성질·상태)에 따라 생산용 표적이 다르다.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정훈·허민구 박사팀은 밀봉·원형·도금표적을 개발, 이를 이용해 저마늄-68과 스칸듐-44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밀봉표적의 모습. 사진=원자력연 제공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성상(성질·상태)에 따라 생산용 표적이 다르다.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정훈·허민구 박사팀은 밀봉·원형·도금표적을 개발, 이를 이용해 저마늄-68과 스칸듐-44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도금표적의 모습. 사진=원자력연 제공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성상(성질·상태)에 따라 생산용 표적이 다르다.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정훈·허민구 박사팀은 밀봉·원형·도금표적을 개발, 이를 이용해 저마늄-68과 스칸듐-44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도금표적의 모습. 사진=원자력연 제공

주재현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