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TNet(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망원경. 사진=천문연 제공
KMTNet(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망원경. 사진=천문연 제공
한국천문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지구를 위협할 가능성이 있는 소행성을 발견했다.

25일 천문연에 따르면 새로 발견된 이 소행성은 국제천문연맹 소행성센터(MPC)에 의해 지구위협소행성(PHA, 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으로 규정됐으며 `2018 PP29`라는 임시번호가 부여됐다.

지구위협소행성(PHA)은 지구 공전궤도 근처에 분포하는 천체 `근지구소행성(NEA)` 중 지름이 140m보다 크고 지구와의 최소 궤도 교차거리가 0.05AU(750만여㎞) 보다 가까운 천체를 말한다. 지름 140m급 천체가 지구에 충돌할 경우 반경 수 백㎞ 지역에 재난을 초래할 수 있다.

천문연 연구팀은 지난해 8월 칠레·호주·남아공 관측소에서 운영하는 지름 1.6m급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망원경 3기로 이 소행성을 검출했다. 연구팀은 10일 동안 PP29의 궤도 운동을 추적, 정밀궤도를 얻는 데 성공했다. PP29는 발견 당시 밝기·거리·소행성 평균반사율을 고려하면 지름 160m급으로 추정된다. PP29 궤도와 지구 궤도가 만나는 최단거리 즉 최소궤도교차거리는 지구-달거리의 11배인 426만여㎞다. 이는 지구위협소행성의 조건 가운데 하나인 `MOID가 0.05AU보다 가깝다`는 내용을 충족한다. PP29는 궤도장반경이 길고 궤도 모양이 원에서 크게 벗어나 긴 타원 형태를 띤다. 또 공전주기가 5.7년으로 매우 길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센트리(Sentry) 시스템은 PP29가 2063년과 2069년 지구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다. 예상 충돌 확률은 28억분의 1로 아직 우려할 단계는 아니다. 다만 충돌위협을 예측하거나 소행성 탐사 임무 대상으로 결정하기 위해서는 정밀궤도·자전특성·구성 물질 등을 밝혀야 한다.

소행성을 발견한 정안영민 박사는 "한국 최초의 지구위협소행성 발견은 외계행성탐색시스템의 광시야 망원경(KMTNet)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국내 미래 소행성 탐사를 위한 기반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천문연은 근지구소행성(NEA)으로 분류되는 천체를 발견했으며 임시번호`2018 PM28`이라 명명됐다. PM28의 직경은 20-40m 사이로 추정된다. 지름이 140m보다 작아 지구위협소행성으로 분류되지는 않았다.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8 PP29와 2018 PM28의 궤도. 천문연이 지난해 8월과 올해 4월 짧은 관측을 통해 발견한 소행성의 궤도와 위치 중 일부(2019년 7월 1일 기준). 지구(파란색)를 뒤따르는 2018 PM28과, 그림 위쪽에 화성 궤도(황토색)를 너머 이동 중인 2018 PP29의 모습이 보인다. 사진=천문연 제공
2018 PP29와 2018 PM28의 궤도. 천문연이 지난해 8월과 올해 4월 짧은 관측을 통해 발견한 소행성의 궤도와 위치 중 일부(2019년 7월 1일 기준). 지구(파란색)를 뒤따르는 2018 PM28과, 그림 위쪽에 화성 궤도(황토색)를 너머 이동 중인 2018 PP29의 모습이 보인다. 사진=천문연 제공

주재현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