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운행기간 설정… 단계적으로 축소해야"

정부세종청사 통근버스 통합승강에 붙여져 있는 통근버스 배치도. 사진=임용우 기자
정부세종청사 통근버스 통합승강에 붙여져 있는 통근버스 배치도. 사진=임용우 기자
수년째 운행하고 있는 이전 공공기관 공무원 `통근버스` 존치 논란은 팽팽하다. 관계 공무원들은 이주가 힘든 공무원들의 `최소한의 배려`라는 주장과 출퇴근을 위한 `과도한 특혜`라는 부정적 시각이 엇갈리고 있다. 정부 세종청사관리본부는 7월부터 10대를 감차 운행한다고 밝혔지만 통근버스 폐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모습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운행 기한을 설정하는 것과 동시에 공무원들의 선택지를 넓혀주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세종의 발전을 위해서는 폐지가 도움이 되겠지만 공무원이라는 특수 수요를 고려한 대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KTX오송역, 대전역 등 거점지역 셔틀 버스 운행, 교육·의료 인프라 확충 등이 선택지를 넓힐 수 있는 방안으로 꼽힌다.

김상봉 고려대 정부행정학부 교수는 "이전 공무원의 세종 정착을 위한 기간을 계획적으로 충분히 준 상태에서 통근버스 운영은 바람직하지만 무계획적으로 장기적으로 예산을 투입해 운행하는 것은 옳지않다"며 "정부 부처가 세종으로 이전해 인력을 조달하기 위한 방안으로 통근버스가 운영되는 만큼 사전에 대비할 수 있는 기간을 주고 폐지, 축소 등의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통근 버스를 아예 없애자는 것은 불가능한 만큼 거점역에서 셔틀 버스를 운행하는 방안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며 "오송역이나 대전역, 남공주역 등 거점 역에서 셔틀버스를 운행하거나 대중교통 출퇴근비를 보조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더불어 서울보다 나은 인프라 구축이 우선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최진혁 충남대 자치행정학과 교수는 "수도권에서 출퇴근 하는데 에너지를 쓰면서 정책의 품질 저하가 심해지고 결국은 국민과 시민이 피해를 보는 것은 자명한 얘기"라며 "공직자들이 세종으로 오지 못하는 이유를 충족시켜주지 못한 것이 이유라면 한쪽의 주장만 볼 것이 아니라 각각의 부분을 합치하고 중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시각에서 최 교수는 "공무원들이 서울에서 근무하는 것보다 편의성을 확보해주고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보다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중재안을 마련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용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임용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